[가스신문 = 유재준 기자]  LNG는 선박용 디젤과 비교할 때 황산화물(SOx) 및 분진이 100%, 질소산화물(NOx)이 80%, 이산화탄소(CO₂)가 23%까지 저감 가능한 친환경 선박 연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LNG추진선이 늘고 있고, 이에따라 선박용 LNG연료를 공급하는 LNG벙커링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본지는 이번 창간 특집호에서 우리나라 LNG벙커링 산업의 발전 전망과 향후 과제에 대해 살펴본다.

IMO의 선박연료 규제에 대한 대안으로 LNG 부상

그동안 선박연료로 유황성분은 많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벙커C유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제동이 걸렸다.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해운규제로 평가받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연료 황산화물 함유량 감축 규제’가 2020년 1월부터 발효됐기 때문이다. 선박 연료 내 황 함유량 상한선을 종전 3.5%에서 0.5% 이하로 대폭 강화하면서 친환경 선박 운항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IMO의 선박 연료 규제에 대해 세계 해사업계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 비용이 비싼 저유황유를 사용하거나, 탈황설비인 스크러버(Scrubber)의 장착 또는 친환경 연료선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노르웨이선급(DNV)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선박 중 총 6,408척이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있다. <표1>에서 보는 것처럼 스크러버 장착에 의한 대응이 4,712척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LNG 추진선과 LNG 레디(Ready)선에 의한 대응이 946척으로 두 번째다. 스크러버 장착이 많은 이유는 기존 선박들이 대체 연료로의 엔진 개조가 불가능하거나 너무 큰 비용 부담으로 인해 탈황 설비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스크러버를 제외하면 LNG연료에 의한 대응이 숫자와 증가율 측면에서 대세를 이루고 있다.

한국LNG벙커링산업협회 정운호 회장(한국가스공사 신성장사업본부장)은 “미래 선박용 무탄소 에너지로 메탄올, 수소, 암모니아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환경․기술․경제 측면에서 실제 상용화까지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여 앞으로 LNG연료 추진선 건조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DNV는 <그림1>에서와 같이 LNG연료 추진선이 2022년 546척에서 2028년 946척으로 73% 증가한다고 예측하고 있다.

[그림1] LNG 연료 추진선의 연도별 증가 추이(자료 : DNV)
[그림1] LNG 연료 추진선의 연도별 증가 추이(자료 : DNV)

LNG벙커링에 대한 각국의 움직임 활발

조사기관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2030년이 되면 전 세계적인 LNG 벙커링 수요가 약 3천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LNG벙커링 수요는 2022년 44만여 톤, 2025년 70만여 톤, 2030년에는 약 140만 여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LNG벙커링은 그동안 소규모 탱크로리를 이용한 TTS(Truck to Truck)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LNG 수요 규모가 커짐에 따라 벙커링 선박을 활용한 STS(Ship to Ship) 방식이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표2>에서와 같이 LNG벙커링선의 빠른 증가가 이를 뒷받침한다. LNG벙커링선은 2021년 말 현재 35척이 운항 중이지만 2024년까지 64척 내지 76척으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LNG벙커링은 유럽, 북미, 동아시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럽은 LNG벙커링 선박 중 운항 비중이 63%, 건조 비중이 40%를 각각 차지하여 전통적으로 벙커링 강세 지역이다. 유럽 외에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지역이 있다. 바로 중국과 일본이다.

중국의 상하이국제항그룹(SIPG,上海国際港務集团)은 탱크 2만㎥급 신형 벙커링선 ‘Avenir Allegiance’호를 매입하고, LNG벙커링의 정기 선사를 유치하여 올 3월 하역․벙커링 동시작업(SIMOPS)의 STS를 개시했다. 프랑스 CMA CGM사가 운영하는 중국 상하이와 미국 LA간 정기 항로의 1만 5천TEU급 컨테이너선에 10년간 협약의 LNG벙커링을 시작한 것이다.

“세계 최대 LNG벙커링 선박이, 세계 최대 LNG벙커링 고객에게, 세계 최대 컨테이너 항구에서 LNG벙커링을 시작함으로써 상하이항이 벙커링 중심지로 부상했다”라는 중국의 자랑을 우리로서는 그냥 흘려듣기 어렵다.

일본은 국토교통성에서 총 경비의 1/3을 보조하는 ‘LNG벙커링 거점 형성 사업’을 3단계로 계획하고 현재 2단계를 진행 중이다. 2019년에 시작된 1단계에서 ‘이세만(伊勢湾)․미카와만(三河灣)’과 ‘도쿄만(東京灣)’을 대상으로 한 사업을 마무리했다. 그 결과 현재 LNG 벙커링선 1척(탱크 3,500㎥ 전용)을 운용 중이고, 올 안으로 LNG 벙커링선 1척(탱크 LNG 2,500㎥+ 초저황유 1,500㎥ 겸용)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2단계로 규슈(九州)․세토우치(瀬戸内) LNG벙커링 구축 사업을 올해 2월부터 새로이 시작했다. 3단계는 LNG벙커링 수요가 30~40만 톤에 도달할 즈음에 도쿄만에서 시작한다.

[그림2] 7,500㎥급 LNG벙커링 전용선(KOGAS, 2023년 예정) 조감도
[그림2] 7,500㎥급 LNG벙커링 전용선(KOGAS, 2023년 예정) 조감도

우리나라도 LNG벙커링 야심차게 추진 중

우리나라는 아시아 최초 LNG벙커링 겸용 선박인 ‘SM JEJU LNG 2호’를 이용한 STS 방식 벙커링을 2021년 5월 그리스 수송선을 대상으로 개시했다. 또한 현재 <그림2>의 7,500㎥급 벙커링 전용선을 건조 중이다. 이 벙커링선은 가스공사와 자회사인 한국엘엔지벙커링(주)가 2023년부터 운영하게 된다.

이에 대해 정운호 회장은 “전용선 투입으로 본격화되는 LNG벙커링 사업은 국내 해양 대기환경 개선, LNG 추진선 발주 증가에 따른 국내 조선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국내에서 벙커링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고 있지만, 해외 진출도 시도하고 있다. 지난 3월 한국가스공사와 대한해운은 1만 8,000㎥급 LNG벙커링선인 <그림3>의 ‘케이 로터스(K.LOTUS)’호를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쉘(Shell)에 용선했다. 가스공사는 향후 LNG벙커링 사업에 대한 고도의 운영 노하우를 해외에서 확보하여 국내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외항선 주유용 LNG에 대한 수입부담금 면제, ‘선박용 천연가스사업자’ 등록제 신설 등 정부도 벙커링산업 육성에 적극 나섰다.

산업부는 ‘그린십 K시범건조사업’으로 LNG벙커링 전용선 건조비의 30%인 150억원을 보조하고, LNG화물창 국산화 등 R&D를 지원하며, 부산과 경남을 중심으로 LNG선 시험 인증센터 및 벙커링 클러스터 구축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해수부는 노후 선박을 친환경선으로 대체하면 신조 선가의 10%를 지원해주고 있다. 이로써 2025년까지 140여척의 민간 LNG 추진선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부산, 울산 등의 주요항만에 LNG벙커링 터미널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민간 투자도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그림3] 1만 8,000㎥급 LNG벙커링선 ‘케이 로터스(K.LOTUS)’호
[그림3] 1만 8,000㎥급 LNG벙커링선 ‘케이 로터스(K.LOTUS)’호

벙커링 국제경쟁력 확보 위해 풀어야 할 과제 많아

국내 벙커링 산업이 나름대로의 토대를 구축해 나가고 있지만 국제경쟁을 위해서는 LNG벙커링 인프라의 대폭 확장이 절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LNG벙커링산업협회 관계자는 “LNG벙커링 인프라 구축에는 초기에 막대한 자본이 든다. 따라서 아직 수요가 미진하여 상당 기간 손실이 불가피한 상태에서 선투자를 단순히 민간에게만 맡기는 것은 무리”라고 밝히면서 “적정 시장규모와 수요가 창출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통 큰 마중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주장처럼 LNG벙커링 설비 운영손실 보조금 도입, 대형 LNG벙커링 선박의 추가 건조 지원 등 선투자자들의 금융비 부담을 경감시키려는 정부의 큰 의지가 적극 요구된다.

또한 해외 LNG벙커링 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벙커링용 LNG 가격이다.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LNG벙커링 사업자가 탄력성 있게 벙커링용 LNG를 도입할 수 있도록 가능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검토돼야 한다.

한편 제도적 개선도 시급한 것이 많다. 현재 유럽, 중국, 싱가포르 등에서 이미 추진되고 있는 하역․LNG벙커링 동시작업(SIMOPS)이 국내에서도 속히 실행될 수 있도록 절차적 규정 정비를 해야 한다. 또 다른 사례로 일부 조선사는 LNG 연료 충전용 탱크로리 설치 대수에 관한 규제 완화를 위해 실증특례를 2022년 초 산업부에 신청한 상황이다. 벙커링 절차에 대한 정부의 보다 선제적인 시각이 요청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