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삼성전자는 57조6324억원의 매출을 통해 영업이익 12조169억원, 순이익 10조7867억원을 올리는 최고의 실적을 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무려 20.9%에 달하고 순이익비율은 18.7%에 이른다. 한마디로 1000원짜리 물건을 팔아 187원의 이윤을 창출했다는 얘기다.

여기에 19조7925억원의 매출액을 올린 포스코 역시 영업이익 5조537억원, 순이익 3조8260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이익률이 25.5%와 19.3%를 기록했다. 에너지 분야에서도 한국전력이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 8.4%, 순이익비율 12.2%를 올렸고 SK(주) 역시 영업이익률 9.3%와 순이익률 9.4%를 달성했다.

반면 가스업계는 가장 매출과 이익규모가 큰 가스공사의 영업이익률은 6.7%, 순익비율은 3.5%에 그치고 있다. 도시가스社는 이보다 더욱 열악해서 대부분 영업이익과 순이익비율이 3% 초반에서 2% 후반에 머물고 있다. 실제 규모가 가장 큰 삼천리의 영업이익률은 3.7%, 순익비율이 3% 수준에 불과할 정도다.

물론 세계적인 제품기술력과 브랜드파워를 확보한 삼성전자, 포스코 등과 수입한 LNG를 받아다 판매하는 도시가스社의 단순 비교는 걸맞지 않은 측면이 많다. 또 지역독점 형태의 사업이다 보니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지자체의 통제를 받아야 하는 사실도 틀리지 않다. 하지만 너무 심한 격차라는 업계 관계자들의 하소연도 설득력이 충분하다.

바야흐로 도시가스 공급비용 조정시기가 다가오면서 도시가스社의 눈과 귀가 온통 해당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에게 쏠리고 있다. 공급비용이 어떻게 책정되느냐에 따라 소위 말하는 한 해 농사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경영실적이 조직원 전체의 노력 여하보다는 외부의 힘에 좌우되는 현실이 투영된 셈이다.

지역독점사업인 도시가스사업에 대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요금규제는 당연히 필요하다. 그러나 공급비용 산정권한을 '傳家의 寶刀'처럼 휘두르면서 행정편의주의式 발상으로 요금을 묶겠다는 생각은 '동기부여'와 '경영효율성 제고' 모두를 해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제부터라도 머리를 맞대고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지혜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