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오르기만 했던 LPG가격이 10년만에 최초로 내리면서 시작된 올 한해도 LPG업계는 유난히 일이 많았다.

우선 LPG체적거래제가 시행된지 2년이 됐지만 진척이 별로 없자 산자부는 체적거래 의무시한을 3년씩 연기했다. 이처럼 체적거래 의무화기한이 공식 연기되자 판매사업자 등 공급자는 물론 소비자들도 LPG체적거래 열기가 완전히 식어 올해 체적추진은 미미한 정도에 머물렀다. 또 판매업계에서는 신규허가와 타지역 사업자의 원정판매가 극성을 부리면서 수많은 고소·고발이 이어지는 등 법적분쟁으로 비화됐고 이같은 영향으로 판매업소 통합이 상당부분 와해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SK가스, LG가스 등 수입사들이 LPG버스개발 착수 등 LPG분야의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도 의미있는 시작이었다. 그동안 CNG버스에 밀려 전혀 가능성이 없어 보였던 LPG버스의 개발 착수는 그동안 LPG차량이 환경개선 효과가 크지 않다는 주변의 시각을 일부나마 불식시킬 수 있었고 소형차에서도 전용엔진 개발 등 기술개발 필요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LPG공급방식의 개선분야에 있어서는 소형저장탱크를 이용한 체적공급시스템 구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돼 향후 높은 발전 가능성을 보여줬다. 그동안 극히 일부의 충전사업자가 산업용으로 공급하던 벌크시스템이 점차 소형탱크까지 확산, 일부 판매사업자까지 참여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산자부는 물론 가스안전공사에서도 미래 LPG산업의 나아가야할 방향은 벌크시스템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판매사업자에게도 벌크판매 허용을 검토하는 등 관련 규정을 완화할 계획에 있어 향후 벌크시스템은 많은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함께 올해 가장 관심을 끌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LPG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른 RV차량의 LPG연료 허용여부, 수송용 부탄의 세금 인상 등 LPG자동차와 관련된 사항이었다. 지난해말 49만2천대에 불과하던 LPG차량이 올해 기아자동차의 카렌스 등 RV차량이 등장하면서 늘어나기 시작해 8월말 60만대, 연말까지는 75만대를 넘어서는 등 한햇동안 25만대 이상이 증가하는 기염을 토했다.

충전업계에서는 LPG용기공동관리제를 둘러싼 논란이 가장 많은 관심을 끌었다. 올해 액법에 용기공동관리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용기공동관리제는 상당수 사업자가 공동관리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이유로 시행을 반대해 결국 공업협회가 추진포기를 선언하는 등 난관에 부딪쳤다. 그러나 산자부가 한시적으로라도 시행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어 향후 시행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12월에는 LPG 유통구조 개편을 위해 업계 및 언론이 참여한 가운데 공동작업단이 구성돼 유통구조 개편에 첫발을 내디뎠다. 단순한 연구용역이 아닌 모든 업계가 참여해 토론과 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LPG분야의 나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게될 이번 구조개편 연구 결과는 향후 LPG산업의 갈림길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