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되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구성되면서 올해초 에너지분야, 특히 천연가스분야에 대한 정책로드맵이 어떻게 그려질 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다.

로드맵 결과는 ‘천연가스 경쟁정책’을 기조로 추진하던 과거 정권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과연 어떻게 추진이 될 지에 대한 방법론에서 관련업계의 관심이 높아졌다. 

정부의 천연가스 경쟁정책은 4월 도시가스사업법 개정법률안(김한표 의원 대표발의)이 발의되면서 ‘가스산업 민영화’ 논란으로 재점화됐다.

4월 도법 개정안의 주요 골자는 천연가스 직수입제도의 규제완화로 직수입사업자에 대한 문호를 대폭 개방함으로써 사실상 기존 천연가스산업이 경쟁체제로 바뀌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에 야당을 비롯한 가스공사 노동조합 등 반대진영에서는 강력히 반발하며 법안폐지를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가스산업 민영화 불씨 남아

이 같은 공방은 10월 국정감사에 이르러 정점을 찍었으며 국감 중에 찬반양측 증인 및 참고인을 부르기도 했다. 또한 직수입제도 확대의 실효성을 주제로 한 의원 주최 국회 포럼이 연이어 개최되면서 관련업계의 관심을 더욱 끌어 올리기도 했다.

결국 직수입 규제완화 도법 개정안은 지난 12일 산업위 법률안 소위에서 정부 수정안으로 의결되면서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정부의 경쟁정책 기조가 바뀐 것은 아니어서 향후 ‘가스산업 민영화’ 논쟁의 불씨는 늘 살아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한편 가스공사 14대 사장에 공사 창립 최초로 내부출신 장석효 사장이 지난 7월에 부임했다. 장 사장은 가스공사 공채 1호이면서 공사 근무 시 도입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공사에 대한 미래비전 제시 및 개혁에 적극 나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도입부문에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이고 국익에 도움되는 방향으로 천연가스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도 고조되고 있다.
 

셰일가스 열풍 올해도 여전해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셰일가스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더욱 뜨거워진 한 해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20년까지 총 수요의 20%가량을 셰일가스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내에서는 현재 한국가스공사를 비롯해서 E1과 SK가스, SK E&S 등이 미국 셰일가스 수입을 결정한 상태다.

특히 SK그룹은 셰일가스를 미래 먹을거리로 삼고자 전사적인 차원에서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K E&S는 지난 9월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미국 프리포트LNG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2019년부터 북미 셰일가스를 LNG로 바꿔 국내에 들여올 계획이다.

셰일가스 운송은 SK해운이 맡고, SK종합화학이 셰일가스 가공을 맡을 계획이다. SK가스는 2015년부터 북미산 셰일가스기반의 LPG를 들여올 예정이다.

또한 최근 롯데그룹 회장이 롯데케미칼에 셰일가스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하는 등 셰일가스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뜨거운 러브콜은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