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금까지 신재생에너지분야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각종 제도를 통해 신재생 산업을 적극 육성해 나가고 있는 만큼 이제 이 분야에서도 국가대표산업이 하나쯤은 나와야 하지 않겠습니까. 저는 그게 바로 연료전지라고 봅니다. 그만큼 연료전지는 충분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갖고 있죠.”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사업을 시작한지 약 8년이 됐다. 그 동안 포스코에너지는 한 걸음 두 걸음 속도를 내며 연료전지산업에서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사업실의 김중곤 전무(58)는 “과거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FIT)부터 지금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까지 큰 정책적 흐름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가고 있는 듯하다”며 “초기에 정부가 연료전지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산업육성에 강한 의지를 보였기에 우리도 정부의 의지와 우호적인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신뢰하고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업 환경은 과거보다 더 좋아졌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육성 정책에 더해 원전 및 정전사태와 밀양 송전탑 사태 등으로 분산전원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크게 형성되었기 때문이죠. 특히 좁은 국토 면적에 도심지역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더욱이 분산전원 형태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친환경 분산전원인 연료전지가 탁월한 대안이라고 봅니다.”

김중곤 전무는 “FIT나 RPS제도는 일종의 마중물(펌프에서 물이 잘 나오지 않을 때 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위에서 붓는 물)의 역할을 하는 제도”라며 “아직은 신재생에너지 전반이 기술 또는 경제성 면에서 취약하기 때문에 정부가 산업이 어느 정도 정상궤도에 진입할 때까지 일정규모의 시장을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기간 동안 신재생에너지기업들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품질향상과 원가절감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코에너지는 그 동안 포항에 BOP 및 스택공장을 준공한데 이어 현재 셀 제조공장을 건설 중이며 내년 하반기부터 전 공정 국산화를 달성한 연료전지를 시장에 본격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우리가 미국의 퓨얼셀에너지(FCE)와 파트너십을 맺은 건 옳은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FCE와 전략적 기술제휴를 맺고 정비·설치·시공을 시작으로 BOP(주변설비), 스택제조기술까지 단계별 국산화를 실현해왔죠. 그러나 아직 셀 생산기술은 우리가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FCE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셀 제조공장 준공 후 본격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면 앞으로는 연료전지설비 공급에서 좀 더 탄력을 받을 겁니다.”

김 전무는 “전체 연료전지설비에서 셀 원가가 40%를 차지하는데 국내생산체계가 마련되면 설비가격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또 품질문제도 완전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셀 제조공장 준공을 통해 전 공정 국산화를 달성하면 이때부터는 해외시장 진출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그는 “이미 해외에 상당한 규모의 시장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현재 일본, 중국, 동남아, 중동 등 해외국과 상당히 깊이 있는 얘기가 오가고 있다”며 “일본의 경우 컨설팅 업체와 일본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FCE와의 협상을 통해 아시아, 중동지역에는 포스코에너지가 독점으로 연료전지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해놨으며, 해외영업조직도 갖추는 등 상당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의 대표산업이라 할 수 있는 철강, 조선, 자동차, 반도체산업도 원천기술은 외국에서 먼저 개발됐지만 이를 국내에 들여와 연구개발하고 원가를 절감해 나가며 하나의 산업을 만들었듯 연료전지도 반드시 그런 산업으로 만들어 나갈 겁니다.”

김 전무는 “다만 사업초기부터 지금까지도 여전히 가장 큰 어려움은 바로 비싼 LNG요금인데 특히 대규모 발전사업자에 비해 중소규모의 민간발전사업자는 더 비싼 LNG요금을 내며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친환경 분산전원으로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기여한다는 점을 고려해 연료요금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RPS 등 지금까지 정부정책을 통해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사업을 지속할 수 있었던 만큼 갑작스런 정책변화로 근간이 흔들리지 않고, 앞으로도 꾸준히 사업을 유지해나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면 연료전지를 국가대표 녹색사업으로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