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해 가스田 개발 선포

올해 국내 에너지 부문에서 가장 큰 이슈 가운데 하나는 동해-1가스전 개발을 대내외적으로 선포한 가스전 개발 선언식을 손꼽지 않을 수 없다.

한국석유공사는 2월 23일 여의도 63빌딩 1층 국제회의실에서 관계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고래 V 가스전 개발 선언식을 거행했다.

동해-1가스전 개발은 지난 30년동안 숱한 시행착오와 어려움을 이겨내고 성취한 것으로 우리나라가 역사상 최초로 가스생산국의 대열에 들어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가스전은 동해 울산 앞바다 60㎞ 해상의 6-1광구 고래V구조에 위치해 있으며 가채매장량은 1천7백억~3천억ft3(LNG 340~400만톤)의 소규모 가스전이지만 경제성으로는 8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도시가스업계 재편 가속화

SK엔론과 LG정유 등 대기업의 도시가스사 인수 또는 지분참여가 발빠른 행보를 계속했다. 대한·부산·청주·구미·포항도시가스를 계열사로 두고 있던 SK엔론은 올해 충남·강원·익산·전남도시가스를 인수, 전체 도시가스사의 1/3을 차지하게 됐다.

또한 극동도시가스만을 갖고 있던 LG정유도 올해 서라벌도시가스를 인수하고 경남에너지의 2대주주로 지분참여를 마쳤으며 해양·강남도시가스의 인수도 목전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대기업의 도시가스사 진출은 소매사업부분의 경쟁체제 도입과 도매사업자의 대량수요처 직공급 등을 골자로 하는 정부의 천연가스산업 구조개편 추진과 맞물려 향후 판도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LPG자동차 1백만대 돌파

LPG자동차가 올 6월 최초로 1백만대를 넘어 1백만6천대를 기록하는 등 LPG차 1백만대 시대가 개막됐다.

이와 함께 드디어 국내 자동차 중 LPG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10%에 근접해 10대중 1대는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LPG연료 대중화가 본격화됐다.

지난 95년 31만여대, 96년 34만여대 97년 40대 수준에 불과했던 국내 LPG자동차가 두배가 넘게 증가한 것은 지난해 자동차社들이 LPG용 RV차량을 속속 출시하면서 일반인들도 LPG차를 선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LPG차가 이처럼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자 정부는 하반기에 LPG자동차용 연료로 쓰이는 부탄의 특소세를 대폭 올리는 방안을 확정하는 단초가 되기도 했다.


■ 기름 섞인 LPG유통 '충격'

그동안 업계 내부에서 심심찮게 거론됐던 LPG품질문제를 둘러싸고 한 판매업소가 충전소를 고발, 일부 석유화학사의 불량 LPG가 중간공급업자를 거쳐 용기충전소에까지 유통된 것이 확인돼 사건이 일파만파로 번졌다.

'그린오일'이라 불리는 이 기름성분은 프로판에 미량 섞여 있는 것으로 상온에서 기화가 되지 않아 동일한 용기에 충전할 경우 계속 누적돼 문제를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정부는 LPG품질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에 전혀 규정돼있지 않았던 LPG품질규정을 제정·고시, 앞으로 모든 도매사업자는 이 규격에 맞는 제품만을 공급하도록 조치하는 계기가 됐다.


■ 보일러업계 첫 특허분쟁

올해는 린나이코리아와 경동보일러간 가스보일러 기술무단 도용과 관련한 특허권분쟁으로 보일러업계 전체가 떠들썩한 해였다.

지난 4월 린나이는 침해중지 가처분 신청을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에 냈고, 9월 평택지원은 린나이코리아의 특허발명을 인정해 생산중지 가처분 결정을 내림에 따라 한 때 에너지절약 보일러의 선두주자역할을 해온 경동 콘덴싱보일러의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다.

10월 양사의 최고 경영자가 만나 조건없는 화해로 이 사건은 마무리됐으나 자사 보일러 기술의 확보나 특허에 대한 중요성을 새삼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됐다.


■ 이르쿠츠크 PNG프로젝트 첫발

이르쿠츠크 PNG사업을 위한 개발타당성 조사사업의 한·중·러 3개국 협정서 서명식이 11월 2일 중국 북경에서 이뤄짐에 따라 동북아는 물론 국내 LNG산업에 일대 획을 긋는 전기가 마련됐다.

특히 이번 협정서 서명식은 한국이 PNG사업에 참여하게 된 교두보를 구축한 성과 외에도 최근 호전되고 있는 남북경협 분위기에 따라 배관북한통과 문제가 3개국간 협의를 거쳐 결정될 경우 남북 에너지사업의 새로운 場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협정서 서명식이 이뤄짐에 따라 2002년 중반까지 타당성조사가 실시되며 2008∼2010년에는 국내에 연간 7백만톤의 천연가스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LPG안전공급계약제 도입

LPG판매사업자와 고객을 고정화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는 LPG안전공급계약제가 도입됐다. 지금까지의 LPG정책에서 탈피, 혁신적인 발상으로 평가받고 있는 안전공급계약제는 허가권역판매제, 새로운 소비자피해보장책임보험제, 공급·소비시설 이원화, 용기소유관리 일원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이 제도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서울시 동작구 등 9개 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 내년 1월부터 6개월간 시범운용에 들어간다.


■ 가스업계 ISO 인증바람

한국가스안전공사가 ISO9000 업무를 시작한지 2년만에 100개 사업장에 대한 인증을 돌파하는 등 올해 가스업계에는 ISO인증 바람이 거세게 불었다.

그동안 ISO인증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져왔지만 올해는 가스기기제조사 등 중소기업에서도 인증을 받는 업체가 크게 증가했으며 안전공사를 통해서만 100여개 업체가 신규 혹은 전환인증을 받았다.

향후에도 추가로 안전과 환경인증에 대한 인식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여 인증바람은 내년에도 멈추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그린벨트內 LPG충전소 허용

LPG자동차의 증가에 비해 충전소가 뒤따르지 못해 LPG차 운전자가 많은 불편을 겪음에 따라 정부는 논란을 빚어온 그린벨트내 LPG충전소 신축을 허용키로 확정하고 관련 법규를 개정했다.

이로써 그동안 충전소가 부족했던 대도시 인근 지역의 충전소 부족난 해소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막상 지자체의 그린벨트내 LPG충전소 배치계획을 받아본 결과 당초 최소만을 허용할 것으로 예상했던 지자체들이 가능한 곳에는 전부 충전소 허가를 내준다는 방침을 밝혀 향후 또다른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 도시가스공급비용 개정

정부와 소비자, 도시가스업계간에 논란을 일으켰던 도시가스공급비용 산정기준이 개정됐다.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개정기준의 주요골자는 △2개 이상 시·도에 공급시 지역별 회계분리 적용 △인입배관에 대한 공사비 사업자 50%부담시의 감가상각 기준 △7등급까지의 가스계량기교체비 사업자 부담(7등급 초과는 수용가 부담) △자기자본수익률 시중은행 정기예금 이자율 적용 △2부 요금제도 도입 등이다. 이에 따라 전국 도시가스사들은 연간 30억~60억원 상당의 손실을 볼 것으로 내다보고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