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블랙아웃 사태 이후 매년 발생하던 전력대란을 올해는 겪지 않아도 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전력수급이 안정궤도에 올라섰다고 방심하기엔 아직 이르다.

전력수급은 발전소 가동중지 또는 급격한 기상변화 등 돌발 변수가 많고, 현재 정부의 노후원전 처우 방침도 명쾌히 정해진 바 없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고질적인 전력난의 근본적 원인을 해소시킬 수 있는 ‘최종병기’로 여론의 집중조명을 받은 것이 바로 가스냉방이다. 전력수요를 가스로 끌어와 에너지믹스 차원에서 전력피크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동고하저의 가스수요패턴도 함께 해결할 수 있어 가장 효율적인 대안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정부에서도 가스냉방기기 설치·설계 장려금 지원 등으로 가스냉방 활성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듯 보였으나, 올 여름 들어 전력수급 상황이 작년보다 다소 나아지고 있다는 전력당국의 발표에 따라 그 의지가 시들해진 모습이다.

올해 가스냉방 정부 장려금은 당초보다 10억 원 증액된 60억 원으로 책정됐지만 지난 5월에 이미 모두 조기 소진됐다. 가스공사가 기획재정부에 80억 원의 장려금 추가 증액을 요청했지만, 추경예산 편성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비싼 초기설치비용과 두 차례에 걸친 천연가스 도매요금 인상으로 경쟁력이 희석된 가스냉방이 냉방시장에서 입지를 굳히기 위해서는 정부의 현실적인 정책 지원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 그럼에도 정부의 미온한 대응에 한 동안 ‘에너지믹스 최종병기’로 각광받았던 가스냉방 업계는 서서히 지쳐가고 있다.

정부는 한시적 현상에 의존해 전력수급 문제를 섣불리 판단할 것이 아니라, 거시적 안목을 가지고 매년 여름이면 전력문제로 정부와 국민들이 가슴 졸이는 일이 없도록 에너지믹스 최종병기인 가스냉방 지원에 다시금 드라이브를 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