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유택시 배출가스 관리방안을 토론하는 자리에서 패널들이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경유택시 도입이 연료공급사 간 이해득실을 떠나 환경적인 문제 등으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경유택시는 아직 현장에서 검증된 사례도 없고 기존 LPG택시보다 환경적·경제적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유택시가 도입될 경우 질소산화물 검사항목 추가를 비롯해 배출가스 보증기간 확대 등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28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환경부 주관의 '경유택시 배출가스 관리방안'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자동차부품연구원 서영호 본부장은 '경유택시 배출가스 관리방안'에 대해 연구자료를 발표했다. 그는 해외 대도시의 경유자동차 관리사례를 통해 영국은 경유택시에 대해 연 2회 정기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스페인 마드리드는 2012년 11월 택시법 개정을 통해 이산화탄소 160g/km, 이산화질소 80mg/km을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은 기존 경유택시를 LPG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성분석을 통해 경유택시는 차량가격 및 유지비용을 고려하면 기존 LPG차량보다 12% 가량 불리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제 도로 주행시 연간환경비용도 LPG차량 대비 4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렸다.

끝으로 경유택시 배출가스 관리방안으로 LPG 및 휘발유 차량의 보증기한과(10년 또는 19만2000km, 경유는 10년 또는 16만km-2016년부터는 LPG 및 휘발유는 15년 또는 24만km로 강화) 동일하게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2016년부터 제작되는 모든 경유승용차에 한해 운행차 배출가스 정기 및 종합(정밀)검사항목에 질소산화물 검사방법 및 배출가스허용기준 등을 추가하는 방안이 도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강광규 본부장의 사회로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한국기계연구원 정용일 단장은 "경유승용차의 질소산화물 과다배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수도권대기의 질소산화물 개선사업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디젤택시는 기존 LPG택시와 비교해 온실가스 저감 및 환경문제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점이 없는 만큼 경유승용차는 LPG보다는 휘발유차를 대처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김기영 책임연구원은 "경유택시가 LPG보다 배출가스부분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환경부와 환경단체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한다"며 "토론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배출가스 및 관련부품에 대한 보증기간 연장은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다양환 대외환경을 고려해 출시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녹색교통운동 송상석 사무처장은 "현재도 질소산화물에 대한 관리방법이 부족한 실정에서 경유택시 도입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경유택시는 수도권에서 절대로 운행되서는 안되고 원하는 지자체에서만 도입하길 바란다"고 일침을 가했다.

끝으로 서울시 교통환경과 강희은 과장은 "환경을 고려하면 서울에서 경유택시가 도입되는 것을 반대하는 입장"이라며 "서울은 타 지역보다 운행거리가 길고 대기개선을 위해 수조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실정에서 경유택시는 예산낭비를 부추긴다"고 말했다. 그는 부득이하게 진행될 경우 지방에서 검증을 받은 후 도입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