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스분야에서는 새로운 안전관리제도 도입이 유난이 많았다.

우선 도시가스사를 대상으로 안전관리수준평가(이하 QMA: Quantitative Management Assessment)제도를 비롯해 20년이 경과한 도심지역 중압도시가스배관을 대상으로 정밀안전진단이 처음 시행됐다. 이어 LPG분야에서는 불법 가스시설 근절을 통한 사고예방을 위해 대국민 신고포상제가 지난 4월 도입됐다.

이들 제도는 가스안전공사에 전담조직이 배치될 정도로 대대적으로 추진됐다. 새로운 검사제도의 도입과 함께 가스안전공사에 전담부서가 들어서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신규제도 시행에 따른 부서 신설은 지난 2008년 상세기준 민간 전환에 따라 기술기준위원회 사무국(현 코드총괄부)과 2012년 도시가스 품질검사 시행에 따른 도시가스품질검사부(현 품질검사부) 정도를 꼽을 수 있다. 더욱이 가스안전공사의 부서 신설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사항으로 과정도 복잡하다. 이런 까다롭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 부서가 신설됐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성과 함께 무게감이 높은 셈이다.

그렇다면 부서까지 신설해서 추진한 이들 검사제도의 지난 1년간 성적은 어떨까? 아직 시행 초기인 탓에 종합적인 분석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들 제도가 사고예방을 위해 시행된 만큼 가스사고 발생건수를 살펴보자.

지난 3분기(9월말)까지 누적된 가스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80건에서 올해는 77건으로 3건이 줄었다.

감소폭이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최근 몇년사이 가스사고 발생건수 자체가 크게 줄어든 점을 고려하면 일부분 이해할 수도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유난히 새로운 검사제도가 많이 도입된 도시가스분야는 납득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3분기까지 13건에 그쳤던 도시가스사고는 올해 18건으로 급증했다.

LPG사고가 54건→47건, 고압가스사고 13건→ 12건으로 줄어든 것과 정반대의 모습을 보인 것이다. 아직 결론을 내리기는 빠르지만, 그동안 새로운 검사제도 시행에 대해 우려 섞인 모습을 보였던 도시가스업계의 의견에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