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및 핵심 기술개발 전략 이행계획을 수립하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의 구체적인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2일 개최된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최근 강화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기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저유가, 저금리 등을 통해 확보된 민간 투자 여력을 미래 성장동력인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투자로 유도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에너지 신산업이란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수요관리 등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전기차, 친환경에너지타운, 제로에너지빌딩,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에너지 자립섬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이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에너지 신산업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까지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공공 수요를 창출하는 등 신시장 창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주요 사업들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오는 2017년에는 민간 중심의 자생적인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개최된 에너지 신산업 대토론회에서 제시한 ‘시장으로 미래로 세계로’라는 정책 방향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먼저 에너지 신산업의 조기 성과 도출을 위해 각 사업별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목표를 설정하고 연차별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절약한 전기를 통해 전력 시장에 참여하는 수요자원의 규모를 160만㎾에서 190만㎾로 확대하며 에너지저장시스템 분야는 전력 품질 개선을 위해 주파수 조정용,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등으로 3년간 총 660㎿h의 대규모 보급 사업을 통해 국내 ESS 사업자의 실적 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온배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2개소 이상의 사업지역을 발굴하고 전기자동차는 정부 보조금 사업과 병행해 민간 중심의 충전 인프라 사업, 배터리 리스 사업을 신설하여 3년간 총 575기의 급속 충전기, 총 44,000대의 전기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또한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을 저층형 모델에서 고층 및 타운형 모델로 확대, 법적 기반도 마련하고 민간 자금을 활용한 총 1,000억원 규모의 에너지 신산업 펀드를 조성하며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기술 이전 및 실증 사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핵심기술개발 과제 30개를 추진하며 올해 총 4,300억원의 투자를 감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 115개의 기후변화 대응 기술 중에서도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등을 포함해 산업적 파급력이 큰 기술을 선정해 집중 육성해야할 핵심기술개발 분야를 발굴한 바 있다.

기후변화 대응 R&D는 분야별로 시장 성숙도를 감안해 기술개발 전략을 차별화하며 핵심기술과 신산업 활성화가 긴밀히 연계되도록 관련 부처 및 산하기관 간 협업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둘 계획이다.

특히 연료전지 분야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상생협력 활동을 지원하고 차세대 전지(SOFC, MCFC기반 복합 발전 등)는 2020년까지 기존 연료전지 보다 발전효율을 1.5배, 수명은 2배로 끌어 올려 기술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원료확보가 쉽지 않은 바이오원료 분야는 시장 환경 개선을 위해 미세조류를 고성장·고지방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어류, 피혁 폐기물 등도 연료나 화학제품으로 원료화할 계획이다.

세 번째는 에너지 신산업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현장 지원, 해외 시장 정보 제공 등 지원 인프라를 확충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해외진출 전 단계에 대한 현장 밀착 지원이 가능한 자문단을 구성하고 주요 유망국, 권역별 진출 여건을 분석해 해외 에너지 신산업 리포트를 발간할 예정이다.

또 에너지 신산업의 기반이 되는 스마트 그리드의 국제표준화 대응을 위해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력 부족 국가를 대상으로 국제 협력을 강화해 해외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글로벌 기술협력체계 연계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와 미래 핵심기술 확보 등 이번 대책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한다는 의견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