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 가스배관 절단 사건
- 대구지방법원 2015. 4. 22. 선고 2014나9715 판결 - 

 

 
 

1. 사실관계

甲은 전체 4층 건물의 1층을 임차하여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4층에 거주하던 한 거주자(이하 ‘가해자’)가 자살을 시도하며 고의로 가스배관을 절단하여 가스폭발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건물 4층 외부벽체 일부분이 파괴되고, 2층부터 4층까지의 창문 일부가 파괴되었다(이하 ‘이 사건 사고’라고 한다). 이에 甲은, 위 건물의 임대인인 乙이 甲의 원활한 영업을 위하여 파손된 건물을 조속히 복구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게을리 하여 甲에게 영업손해, 설비 및 집기물 손해, 위자료 등의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주장하면서, 乙을 상대로 위 손해의 배상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다.

 

2. 판결요지

항소심 판결인 대구지방법원 2015. 4. 22. 선고 2014나9715 판결은, “임대차계약에 있어서 임대인은 임대차목적물을 계약 존속 중 그 사용ㆍ수익에 필요한 상태로 유지할 의무를 부담하므로, 목적물에 파손 또는 장해가 생긴 경우 그것이 임차인이 별 비용을 들이지 아니하고도 손쉽게 고칠 수 있을 정도의 사소한 것이어서 임차인의 사용ㆍ수익을 방해할 정도의 것이 아니라면 임대인은 수선의무를 부담하지 않지만, 그것을 수선하지 아니하면 임차인이 계약에 의하여 정해진 목적에 따라 사용ㆍ수익 할 수 없는 상태로 될 정도의 것이라면 임대인 수선의무를 부담한다 할 것이고, 이는 자신의 귀책사유로 임대차 목적물이 훼손된 경우에는 물론이고 자신에게 귀책사유가 없어 훼손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9다96984판결 , 대법원 2012. 6. 14. 선고 2010다89876, 89883 판결 등 참조)”라는 대법원 판례를 설시한 후, 위와 같은 법리에 비추어 볼 때, 이 사건 사고는 건물 4층 거주자가 고의적으로 가스폭발을 일으켜 발생한 것으로서, 임대인인 乙이 전혀 예상할 수 없었고 그에 대한 예방도 불가능하였을 것으로 보이는 점, 이 사건 사고 발생 후 甲이 이 사건 건물 1층을 인도할 때까지 甲은 이사비용, 손해배상 등을 요구한 사실은 있으나 이 사건 건물 1층의 수리를 요구한 사실은 없는 점, 甲은 실제 2013. 12. 9. 어린이집을 폐업한 바 甲은 이 사건 사고 이후 더 이상 이 사건 건물1층에서 어린이집을 운영할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그 밖에 乙이 외부업체에 의뢰하여 이 사건 건물 주변 및 건물외벽에 대한 청소와 정리를 한 점 등을 종합하면, 乙이 수선의무를 불이행하였다고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시하며 甲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3. 해설

이 사건에서와 같이 제3자인 가해자가 고의로 가스배관을 절단하여 가스폭발 사고가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그 사고로 인하여 임차인이 계약에 의하여 정해진 목적에 따라 임대차 목적물을 사용·수익할 수 없는 경우라면 임대인은 귀책 여부를 불문하고 그에 대한 수선의무를 부담한다.

본 사안에서는 임대인에 대한 수선의무 발생을 전제로 하여, 과연 임대인이 그러한 수선의무를 불이행하였는지가 쟁점이었는데, 여러 사정에 비추어볼 때 임대인인 乙은 수선의무를 불이행하였다고 볼 수 없다고 재판부가 판단한 것이다.

방론으로, 甲은 왜 가해자가 아닌 임대인인 乙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하였을까? 아마도 가해자는 자력이 없는 서민이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물론 민사상의 자력 여부와 관계 없이, 가해자는 이 사건 사고 발생으로 인한 형사책임은 별도로 진다). 즉, 甲은 이 사건 사고 발생으로 인해 분명히 자신에게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이 책임을 무자력자인 가해자에게는 물을 수가 없으니, 자력이 있는 임대인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임대인이 수선의무를 불이행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 임대인으로부터 손해배상을 받는 것도 불가능해졌다. 이처럼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는 상대방, 즉 피고를 누구로 정하느냐의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자력의 유무, 책임의 발생여부 및 그 범위, 승소 가능성 등. 만일 甲이 임대인이 아닌 보험회사(위 건물의 화재나 가스사고 발생을 대비하여 보험을 가입한 경우) 또는 해당 지역민의 안전과 재산을 책임질 의무가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다면 결과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