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평택시가 세계 초대 규모로 구축하려던 ‘평택 연료전지발전사업’이 결국 열수요처를 찾지 못해 협의체를 구성한지 2년 만에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번 결과에 업계 일각에서는 경기도와 평택시의 지나친 추진력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평택시는 지난 8일 ‘평택 연료전지 발전사업 추진사항’ 보고를 언론브리핑을 통해 “더 이상 사업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업무협약(MOU)건에 대한 투자협의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평택 연료전지발전사업은 지난 2014년 7월 △경기도 △평택시 △한국가스공사 △한국남부발전 △포스코에너지 △두산 △다비오버시즈 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증권 △GK홀딩스 등 9개 기업이 MOU를 체결하면서 평택 연료전지발전사업 출발을 선포했다.

세계 최대 규모인 360㎿급 연료전지발전소를 건립하기 위해 사업비도 총 약 2조원이 투자될 예정이었다. 1단계 100㎿(2016년 완공)에 5000억원이 투입되고, 2단계로 360㎿(2018년 완공)까지 1조5천억원을 투자해 증설 구축을 계획으로 내새웠다.

MOU체결 당시 경기도와 평택시는 300억원의 외자유치와 500여명의 신규고용, 3000여명의 간접고용 일거리 창출이 기대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MOU체결 당시 생산된 열을 평택LNG생산기지와 인근 포승공단 등에 공급할 계획으로 추진됐으나, 결국 열수요처를 찾지 못해, 세계 최대규모의 평택 연료전지발전소 건립이 무산되는 허무한 결과가 나타났다.

평택시 관계자 역시 “지난 2014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투자협의 종료를 발표한 이달 초까지 열수요처를 찾기 위해 한국가스공사, SK건설 등과 지속적인 협의회를 진행했지만, 결국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무산된 이유는 이뿐만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연료전지시스템공급사가 이 사업 시작 단계부터 “사업성이 없어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한 점이다.

연료전지시스템공급사의 한 관계자는 “평택 연료전지발전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됐으면 국내 연료전지발전시장에 큰 기여를 했겠지만, 발전소가 건설되기로 계획한 포승읍 원정리 근처에 생산된 열이 공급될 곳이 마땅치 않고, 열수요처를 약 20km를 배관 공사를 통해 열수요처를 찾는다는 계획을 제시했지만, 결국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즉, 연료전지발전소 주요 수익창출 구조인 전력판매(SMP)와 신재생에너지공급서(REC), 열 판매가 이뤄지지 않아 애초 수익성이 없었다는 결과다.

결국 연료전지 업계는 지자체가 정부 정책아래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분산발전원으로 연료전지를 선택해 에너지 사업부지로 최적의 여건을 지니고 있는 냉열사업부지를 활용한 점은 최적의 선택이었으나, 연료전지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앞만 보고 달려왔다는 지적하는 이유다.

따라서 이번 사업 관계자들은 평택시가 연료전지발전사업의 끈을 놓지 않기로 언론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만큼, 앞으로 있을 계획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