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김재형 기자]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지난 12일 규모 5.8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재해에 강한 LPG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더욱이 이번 지진이 수도권 내륙까지 미치면서 수도권 지역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와 함께 북한의 미사일도발 수위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에서 분산형에너지인 LPG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책이 이제라도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가스에너지 간 균형발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이미 수년 전부터 지속돼 왔다. 지난 2011년 정부는 LPG와 LNG로 대변되는 가스연료 간 역할배분을 비롯해 효과적인 정책, 실천 가능방안 등을 파악하는 연구용역을 진행한 바 있다. 연구용역 결과 에너지안보를 비롯해 유사시 대응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1차 에너지원 중 가스체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20% 내외를 유지할 경우 LNG:LPG는 8:2(7.5:2.5)수준이 에너지정책목표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연구용역 결과에 대다수가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후속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서 LPG산업은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다.

지진의 공포와 더불어 최근에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도 우려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2010년 11월 23일 서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해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한 바 있는데 최근 남한과 북한의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으면서 미사일 도발 위협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전기자동차를 비롯해 전기의 활용폭을 넓힌다는 방침이지만, 지진으로 인한 원전의 안전도 보장할 수 없는 만큼 하루 속히 대책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북한도발과 지진사태 등이 피부로 와 닿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 분위기가 180도 바뀌면서 유사시를 대비해 국가에너지정책도 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서 대규모 지진사태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진에 대한 관심이 낮았으나 이번 경주에서 발생한 5.8규모의 지진발생 후 이제라도 LPG의 역할을 재조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LPG는 분산형 에너지원으로 자연재해와 유사시 대응이 가장 빠르다. 20kg, 50kg 용기의 체적시설은 처마 밑 비축에너지로 역할을 할 수 있는 데다 500kg에서 3톤 미만의 소형저장탱크도 전국에서 5만개가 설치된 만큼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일정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용기방식에서 탈피해 소형LPG저장탱크로 유통형태가 변함에 따라 일부지역은 LPG의 가격경쟁력이 도시가스보다 앞서고 있다.

LPG산업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LPG에 대한 관리체계가 완전히 바껴야 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1차 에너지원 중 LPG의 비중이 3~4%에 달하는 만큼 일본과 같이 1차 에너지원 통계 작성 시 LPG를 석유와 별도로 구분해 관리하고, 적정유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국가 에너지기본계획에 LPG를 포함시켜 LPG의 수요유지 방안과 적절한 역할을 제시해야 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저소득층의 주요에너지원으로 LPG는 꾸준히 이용될 수밖에 없고 청정연료로 오염물질이 적기 때문에 환경적으로도 인정을 받고 있다”며 “또한 자원 생산국의 전쟁, 생산시설 고장, 원자력 등 기저발전 불시고장, 자연재해로 인한 공급시설 장애 등 유사시 에너지안보 측면에서도 LPG는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