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이경인 기자] 추석연휴, 가족과 함께 즐거워야할 명절이었지만 이번만은 달랐다.

경주발 지진소식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으며 이는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지진이 발생하자, 정부와 가스안전공사, 도시가스사 등은 대대적인 가스시설 점검에 나섰으며 경주지역 매설배관에 대해서는 연말까지 정밀안전진단이 실시되는 등 부산한 모습이다.

다행히 이번 지진으로 가스누출이나 이로 인한 화재 등은 집계되지 않았다.

하지만 안심하기는 이르다.

지난 4월 일본 규슈에서 발생한 지진의 경우, 리히터 규모 6.4의 1차 지진에 이어 7.3의 강진이 연이어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진에 대한 예방대책이 우리보다 뛰어난 일본이었지만, 연이은 강진을 예상하지는 못했고 결국, 많은 인명·재산피해를 기록했다.

사실,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5.8로 국내에서는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지진피해분류상으로는 중하규모이다.

더욱이 우리나라 가스시설은 1996년부터 내진설계가 의무화됐으며 5.0∼6.0 진도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어, 이번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 피해는 없었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하지만, 여전히 미흡한 점이 적지 않다.

현행 가스시설 내진설계기준을 살펴보면 엔지니어링사에 소속된 엔지니어와 구조기술사가 고압가스시설의 내진설계 업무를 수행토록 명시돼 있어, 사실상 가스기술사의 참여를 제한하고 있다.

말그대로 건물과 가스시설물의 내진설계를 동일한 전문가가 담당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가스기술사회는 가스시설물의 경우, 건물과 달리 다양한 피해양상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효과적인 지진피해 예방을 위해 가스시설물 내진설계업무에 가스기술사 참여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지진에 안전한 지역으로 꼽혔던 우리나라도 최근 30년사이 연간 지진발생 규모가 3.5배 급증하고 강도도 점점 높아지고 있어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라고 장담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지진으로 인한 가스시설물 피해예방을 위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