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의 대기업계열 한 충전소가 부지 내에 LPG판매업소를 짓고 소매업까지 진출하려고 하자 지역의 LPG판매사업자들이 집단적으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를 보는 시각은 각자의 입장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기업이 약소기업의 생업 터전까지 넘보는 행위는 결코 바람직스럽지 않다.

지난 60여년동안 우리나라의 LPG(용기)유통구조는 수입·정유사→충전소→판매업소의 엄격한 틀 속에서 각자의 고유영역을 구축하며 정립되어 왔다. 만약에 이 틀이 일시에 깨어진다면 그 혼란은 걷잡을 수 없을 것이다. ‘소비자의 이익’이라는 명분 아래 LPG유통시장은 거대한 자본력에 의해서 잠식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어느 지역의 한 충전소 문제를 가지고 가스신문이 과민반응을 보인다고 힐난할 수도 있겠지만, LPG유통시장이 뿌리채 흔들리는 단초가될 사건이기에 우리는 이를 우려하며 경계하는 것이다. 특히 LPG판매업은 동반성장위원회로부터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만큼 충분히 보호되어야 한다.

물론 충전물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전소의 애로사항도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지역의 소매물량을 편취하려는 발상은 재고되어야 한다. 이제까지 충전소와 판매소는 공급자와 고객의 관계 이상으로 끈끈하게 결합된 공동운명체나 다름 아니다.

판매업소들도 충전소의 애로사항을 이해하고 충전물량의 적절한 안배를 고민해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가스수요가 감소하는 시대에 업소수가 많기에 근본적인 상생대책도 찾아봐야 할 때이다. 지역별 충전·판매의 통합경영시스템도 심도 깊은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