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국내 첫 LPG·수소 복합충전소가 완공될 울산시에 위치한 옥동LPG충전소 전경.

 올해 수소충전소 구축계획은 

연말까지 누적 25곳 예상…2020년 100개소 목표

 

환경부, 신규 10개소 선정
고속도로 2개소는 미지수

지난해부터 추진한 충전소
올해 2월, 6~8월 완공

부지확보·건설비 절감 위한
복합 및 융·복합 확대 필요

 

[가스신문=남영태 기자] 지난해 정부는 세계시장 속 수소산업의 발 빠른 움직임에 맞춰 오는 2020년까지 수소차 1만대, 수소충전소 100개소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사업 주관인 환경부는 단계별 수소충전소 보급에 나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 구축된 총 19개의 수소충전소 중 10개소만 운영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올해 당초 지난해 사업으로 추진 중인 3개소가 완공한다. 더불어 올해 환경부는 10개소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고, 선정된 각 지자체는 이르면 이달 중으로 사업계획을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전기수소버스 충전소 2개소도 구축될 예정이다. 이에 이번 기획에서는 올해 환경부의 수소충전소 보급 계획과 2020년 100개소 구축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올해 신규 최대 14개소 기대

환경부는 당초 올해 수소충전소 14개소 구축(210억원)과 수소차 200대(55억원)를 보급하기 위해 총 265억원으로 예산을 배정해 환경노동위원회(이하 환노위)에 제출했다.

그러나 지난달 올해 예산(안)에 대한 환노위 최종 심의 과정에서 30% 삭감(79억2500만원)된 185억7500만원으로 확정·통과됐다.

예산 삭감의 이유를 제20대국회 제346회 제5차 환경노동위원회 회의록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살펴보면 “2016년도 보급 실적이 저조한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은 수소차 보급 목표를 200대에서 130대로, 수소충전소 설치 목표를 14개소에서 10개소로 조정하고, 79억2500만원을 감액했습니다”라고 명시해 놓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최종 확정된 185억7500만원으로 올해 수소충전소 10개소(1기당 15억×10개소)와 수소차 130대(1대당 2750만원×13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가 건설되는 구체적인 지역은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중점 보급지역’으로 선정된 울산시(3개소)와 광주시(3개소), 경남 창원시(2개소), 충남(1개소) 그리고 세종시(1개소)이다. 또한 보급예정인 130대의 수소차 역시 이들 지역을 기준으로 먼저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각 선정된 지자체는 이르면 이달 중으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해 수소충전소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지난해 하반기 과제로 공고한 ‘수소전기버스 충전소 모니터링사업’을 통해 2곳의 수소충전소가 건설된다.

지난달 이엠솔루션컨소시엄(이엠솔루션, 태광후지킨, 대정밸브)이 이번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최종 확정됐고, 컨소시엄은 늦어도 11월까지 완공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4년간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수소전기버스용 패키지형 수소충전소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위해 추진된다. 이러한 핵심기술 개발과 모니터링 기술 개발을 위해 평창과 강릉에 수소전기버스 전용 충전소와 버스·승용 겸용 충전소가 각각 1개소씩 건설 예정이다.

올해 11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는 수소전기버스 전용 충전소 및 버스·승용 겸용 충전소는 내년도 평창올림픽에서 현대자동차가 제공하는 수소버스와 수소차 충전시설로 활용될 전망이다.

또한 환경부가 지난해 6월 ‘2017년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에 참여할 사업자 모집 당시, 가장 주목됐던 고속도로 휴게소 수소충전소 구축은 올해 구축 유·무를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다.

환경부 측은 “국토부 지역특화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던 고속도로에 수소충전소 2개소 구축은 올해 예산에는 반영 됐으나, 규제프리존과 연계돼 있어 관련 특별법이 통과돼야 추진할 수 있는 사업임으로 아직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올해 첫 LPG·CNG 충전소 완공

이렇게 올해 최대 14개의 신규 수소충전소가 구축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환경부가 지난해 보급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남 창원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의 수소충전소가 올해 완공된다.

이 가운데 올해 처음으로 구축되는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8월 착공에 들어간 창원시이다.

창원시 수소충전소는 수소차와 수소버스 겸용인 35·75㎫(350·750bar)규모의 성능으로 건설되며, 수소차는 하루 5대, 13시간을 기준으로 최대 50대의 수소차 충전이 가능토록 설계된다. 또한 수소버스는 주 1회 충전 예정이다. 충전을 위한 연료(수소)는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운송, 공급하게 된다.

특히 창원시 수소충전소에는 린데社의 아이오닉 압축기가 사용된다. 이 압축기의 경우 설치 구조상 장시간 운전 시에도 실린더와 압축기 사이에서 수소 누출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기존 압축기에 비해 동력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창원시는 기대하고 있다.

또한 타 압축기에 비해 운전소업도 최소로 발생돼 이미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많이 채택돼 설치, 운영되고 있는 제품이다.

더불어 국내 첫 LPG·수소복합충전소 건설을 진행하고 있는 울산시는 이르면 6월, 늦어도 8월안에는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옥동 남구에 소재한 LPG충전소에 이동식 튜브트레일러를 활용해 수소를 운송, 공급하게 된다. 70㎫(700bar)의 압력으로 수소차 시간당 5대, 하루 최대 50대 충전이 가능토록 설계된다.

또한 저장용기는 48㎫(480bar)의 상용압력인 720ℓ 이상의 용기 최소 2세트와 82㎫(820bar)의 상용압력인 300ℓ 이상의 용기 최소 2세트로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CNG·수소융복합충전소는 광주시 광산구 복룡동에 소재한 해양도시가스 부지 내 구축된다. 튜브트레일러를 먼저 구축한 뒤 향후 개질기를 사용한다는 계획이며 수소차 시간당 5대, 하루 최대 50대 충전이 가능하고 수소버스는 하루 5대를 충전할 수 있도록 35·70㎫(350·700bar) 압력으로 건설된다.

 

2020년 목표달성, 박차 가해야

올해 환경부 수소충전소 신규 사업으로 10개소,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3개소,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과제로 진행하는 2개소가 확정된 가운데 올해 총 15개의 수소충전소가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여기에 올해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2개소도 건설된다면 최대 17개의 충전소가 건설된다.

특히 올해 모습을 드러낼 복합충전소(울산시)와 융·복합충전소(광주시)의 사례는 주목해볼 만하다. 그간 관련업계가 수소충전소 구축에 가능 용지 해결 및 구축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어 복합 및 융·복합충전소 구축을 장려했기 때문이다.

먼저 복합충전소의 경우 LPG 및 CNG 등 기존에 구축된 주유소 내에 수소충전소가 함께 구축되는 모델이다. 수소차 및 수소버스 충전을 위한 수소는 부생수소 등을 튜브트레일러를 이용해 운송, 공급하는 방식이다.

또한 융·복합충전소의 경우 복합충전소와 같이 주유소 내 같은 공간에 수소충전소가 구축되지만, 기존 충전시설 보완만으로 수소제조 및 공급이 가능한 모델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최근 건설된 충청남도 내포신도시 수소충전소의 경우 건설비용은 건축비와 장비 구축비용으로 각각 약 15억원씩 투자됐고, 토지비용으로 16억원이 투입됐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복합 및 융·복합충전소로 구축하게 되면 건설비용에서 토지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융·복합충전소와 일반 수소충전소를 비교했을 때 별도의 수소 운송비가 발생하지 않아 그 만큼 운영비 측면이 절감돼 경제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올해 복합 및 융·복합충전소 구축을 추진하는 울산시와 광주시의 어깨는 무거울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사업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경제성과 사업성 확보 등의 표준모델을 각 해당 지자체에서 제시한다면 복합 및 융·복합충전소를 활용한 국내 수소충전소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관련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책임감의 무게는 울산시, 광주시만의 문제가 아닌 올해 정부 예산을 받아 수소충전소를 건설하기로 약속한 각 사업별 선정된 지자체, 사업자들도 함께 짊어져야 할 문제다.

지난해 수소충전소 건설 사업의 완공 시점은 모두 올해로 연기됐다. 물론 울산시와 광주시의 복합 및 융·복합충전소의 경우 관련 법제도가 지난해 7월에 제정됨에 따라 사업기간이 연장됐다.

올해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각 선정된 지자체는 6개월의 건설기간을 고려해 늦어도 5월에는 착공에 들어가야지만 연말에 완공할 수 있다.

즉, 선정된 지자체는 체계적인 계획과 부단한 노력을 통해 수소충전소가 도심지역에 위치할 수 있는 최적의 부지선정은 물론, 지역 주민들 수용성 제고, 복합 및 융·복합충전소 건설의 경우 기존 사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건설을 추진해야 올해 계획한 수소충전소가 보급될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