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고압가스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본격적인 적용이 이제 6개월도 채 남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까지 GMP 적합판정서를 받은 사업장이 단 한 곳에 불과하다고 하니 이 제도가 기한 내에 정착될 수 있을지 의구심부터 앞선다.

현재 식약처의 행정지원을 받는 등 GMP 인증을 준비하는 곳은 적어도 70여개소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가스메이커와 충전소를 합해 겨우 1개 사업장만이 적합판정서를 받은 걸 보면 GMP의 문턱이 꾀나 높은 모양이다.

실제로 의료용가스충전소의 제조 및 품질관리자들은 한 결 같이 GMP 준비절차가 너무 까다롭고 복잡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컨설팅회사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GMP 준비 작업에 접근조차 할 수 없다며 불만의 소리가 높다고 한다.

일부 충전소들이 GMP 의무화 기간 내에 적합판정서를 받지 못하게 되면 가스의 공급중단 등의 사태까지 벌어질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사정이 급박해질 경우 의무화 기한을 못 박은 정부가 나서 GMP 대상 업체를 끌고 가야 할 판이 될지도 모른다.

아직도 일부 가스사업자들이 의료용가스를 의약품으로 보지 않고 단순히 가스로만 인식하는 등 GMP 인증제 도입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환자가 직접 흡입하는 산소의 경우 오염방지 등 품질보증체계를 확립해야하므로 사업자가 앞장서 품질 확보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투자할 때만이 GMP 인증제가 순조롭게 정착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