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시대의 선포로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 전환기가 시작되었다. 에너지(energy) 수급은 경제(economy) 및 환경(environment) 문제 등과 긴밀히 얽혀 있는 시스템에 좌우되므로 에너지 전환은 쉽지 않다. 따라서 에너지 전환정책 가운데 모두를 만족시키는 이상적 처방은 없다. 그런 측면에서 에너지 전환을 통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우리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줄지 가늠해 볼 필요가 있다.

에너지 문제해결의 세 가지 열쇠는 정책, 기술 그리고 경제성이다. 이제까지 원전은 경제성 그리고 온실가스 대책의 수단으로 각광받았으나 후쿠시마 사건과 경주 지진이후 안정성 때문에 기피대상이 되고 있다. 원전의 안전성을 담보할 기술적 보완이 관건이 될 것이다. 그런 기술개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결국 정책이다. 새 정부의 정책방향은 원전비중 축소와 신재생 및 천연가스 발전비중 증대다.

탈원전 이후에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인 독일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를 보고 싶겠으나 신재생에너지는 다음의 세 가지 키워드로 봐야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기술, 보완성, 그리고 지역성이다. 아시다시피 지구가 생긴 이래 신재생에너지는 우리 주변에 있었다.

최근의 기술적 성취로 태양광, 풍력 등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니 신재생에너지에서 기술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정부보조금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이루어지는 만큼 기술이 아직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을 담보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리고 밤에는 해가 뜨지 않고 바람은 하루 종일 고르게 불지 않는다. 그 만큼 신재생 에너지는 아직까지 기저부하를 보완해 주는 에너지다. 그리고 지역성이란 측면에서 보면 우리에겐 풍부한 신재생에너지원이 그다지 많지 않다.

독일이 그나마 성공적이었던 까닭은 독일의 전력망이 유럽 각국과 연결되어 있어 신재생 에너지의 보완적 성격에 크게 신경 쓰지 않을 수 있고, 북해의 바람이 일 년 내내 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보다 유리한 독일마저도 탈원전으로 전기요금이 우리보다 적어도 2배 비싸졌다.

우리 정부도 이런 형편을 헤아려 천연가스 발전을 탈원전과 탈석탄화력의 대안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뻔한 얘기지만 천연가스 발전을 위해서는 천연가스를 들여와야 한다. 동해가스전에서 천연가스가 생산되나 발전을 할 만한 양은 아니다.

미국의 트럼프 정부가 에너지 수출 곧 천연가스 수출에 주목하는 만큼 LNG시장이 단일 시장으로 묶여 활성화되리라는 예측도 있으나 LNG액화와 기화설비 구축에 막대한 재원이 들어가고 석탄을 싼값에 쓸 수 있는데 굳이 저개발 국가에서 LNG를 선택할 지 장담하기 어렵다.

그런 까닭에 국제정치 무대에서 LNG시장과 연계된  새로운 이슈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 하나가 최근에 IS지원 문제로 비난받은 카타르다. 이제까지 LNG시장의 독보적인 일인자였던 카타르의 지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터진 외교분쟁인 만큼 카타르의 입지를 약화시키기 위한 압박카드일 가능성도 있다.

그 만큼 에너지전환기에 천연가스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생산국간의 치열한 소비시장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천연가스는 보관운송문제가 따르므로 그 만큼 연관산업의 기회가 늘어날 것은 틀림없다.

이달 초에 발표된 BP에너지전망 2017에 따르면 2035년에 중국은 천연가스 소비량의 40%를 수입해야 하고 유럽은 거의 80%까지 수입해야 한다.

그런 천연가스 거래량증가는 LNG선 증가와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의 추가건설이 전제된다. 따라서 새정부가 천연가스를 중시하고자 한다면 전력망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수준의 기저부하를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천연가스를 둘러 싼 국제정치적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천연가스시장을 주도면밀하게 분석하고 우리의 막강한 천연가스 구매력을 극대화 시켜 연관산업에서의 일자리 창출과 부가가치를 창출할 전략적 구상이 필요하다. 그런 전략은 결국 전문가들의 지혜와 정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만큼 에너지 전문가 시대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