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윤인상 기자] 유럽발 전기자동차(EV)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최근 2040년까지 가솔린차와 디젤차의 판매를 전면적으로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세계 석유소비의 70% 정도는 자동차 등 수송용이 차지하지만 환경대책으로서 ‘탈석유’가 세계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자동차메이커의 전략과 수요가 늘어나는 전력 확보를 위한 에너지정책 대응이 요구된다.

영국의 고프 환경장관은 지난달 26일 영국 BBC에서 신차판매 금지에 의한 디젤차와 가솔린차를 전면 폐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조치는 배기가스에 의한 도시부에서의 심각한 대기오염문제와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것이 목적이다. EV의 보급을 촉진하는 것으로 국내에서의 관련기술 개발을 뒷받침한다.

지자체에 의한 배기가스 억제책을 지원하기 위해 2억5500만파운드의 예산을 마련하고 대기오염대책에 총 30억파운드를 투자한다. 오염이 심각한 지역에서는 규정을 만족하지 않는 차량의 진입금지와 통행에 과징금을 부과하는 등의 조치도 도입한다.

유럽에서는 연비에 뛰어난 디젤차의 이용이 많지만 최근에는 차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에 의해 대기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독일 자동차 대기업인 폭스바겐에 의한 배기가스 부정문제의 발각 등에 의해 디젤차의 성능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면서 전면 금지 움직임을 뒷받침했다.

환경의식이 높은 유럽에서는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에서 2025년 이후 디젤차와 가솔린차의 판매금지를 검토하는 움직임도 있다. 자동차대국인 독일에서도 지난해 가을 2030년에 가솔린차 등의 판매를 금지하는 결의가 국회에서 채택됐다. 법제화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탈연료차’의 기운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아시아에도 미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올해 4월 "2030년까지 판매하는 차를 모두 EV로 한다"는 목표를 발표했고 중국에서도 유사한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 단숨에 EV로 전환해 자국의 유력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의도도 작용하고 있다.

일본정부도 2030년까지 신차 판매에 차지하는 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V) 등의 비율을 50~70%로 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단 기존 연료차용의 부품 등 많은 관련 메이커가 있는 만큼 과감한 정책 변경을 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16년 EV 등의 신차판매는 75만대를 초과했다. 누계로는 200만대를 넘었다. 2020년에는 최대 2000만대, 2025년에는 7천만대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EV의 보급은 가솔린 수요를 낮췄다. 일본경제산업성이 6월에 공표한 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세계 석유 소비내역은 자동차 등 수송용이 2014년 시점에서 65%를 차지했다. 신용 평가 회사 피치·레이팅스는 유럽의 신차 판매 비중에서 EV가 10년 이상 50%을 유지하면 휘발유 수요가 4분의 1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전력수요는 신장한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모든 승용차가 EV로 교체하면 소비전력량은 단순계산으로 10% 증가한다는 시산도 있다. EV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전력의 공급량 확보가 열쇠가 된다.

영국은 환경을 배려해 풍력 등의 재생가능에너지의 비율을 20% 정도로 높이고 석탄 의존도를 줄이려고 하고 있지만 전력공급은 현 상황에서도 아슬아슬하다. 원자력 발전소 노후화로 신규 원전을 예정대로 건설하지 못하면 2020년대에도 전력 부족에 빠질 우려가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는 발전비용이 저하되고 있지만 원전은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를 계기로 세계적으로도 추진이 쉽지 않게 됐다. EV 전환을 추진하기에는 온난화와 대기오염의 대책도 양립시키면서 전력수요확대에 대응하는 에너지 정책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