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윤인상 기자] 세계 2위의 LNG수출국인 호주에서 세계적 대기업이 호주 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에 나섰다.

미국 엑슨 모빌, 마루베니가 호주 내 첫 LNG도입 기지를 건설한다. 수출국인 호주에서 자국 내 공급 인프라 정비가 진행되는 배경에는 인구 증가에 따른 에너지 수요 증가, 환경대책, LNG 거래 관행의 변화 등 3가지 이유가 있다. 수출 일변도였던 각 사 들은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다.

호주의 첫 LNG도입기지가 정비되는 곳은 시드니 근교의 캔버라항. ‘FSRU’라 부르는 부유식 저장·재가스화 설비를 설치하고 배로 운반된 LNG을 기화해 공급할 계획이다. 시드니가 속한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가스수요의 70%에 해당하는 연간 200만톤을 최대로 공급한다.

도쿄전력과 츄부전력의 공동 출자회사 JERA(도쿄·츄우오)와 마루베니가 호주 철광석 대형 포테스큐메탈·그룹 창업자와 손잡고 운영을 담당한다. 투자액은 최대 3억 호주 달러(약 245억엔)로 전력, 가스 등 12개와 공급 각서를 체결하고 2020년부터 출하한다.

운영 주체인 기업연합 AIE는 “LNG수출국들이 가스를 구입하는 것이 신기한 일은 아니다. 가격 경쟁력 있는 가스를 도입하는 것” 이라고 지적한다. 호주 국내 가스전 외에 동남 아시아 등에서의 조달을 검토 중이다.

엑슨모빌은 2022년에도 또 다른 대도시 멜버른이 있는 빅토리아 주에서 도입 시설을 가동시킨다. 호주 언론에 따르면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건설 비용은 1억 호주 달러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호주의 전기 가스 소매 대기업인 AGL에너지도 같은 대응을 진행한다.

호주는 대규모 가스전이 북서부의 앞바다에 편재해 있고 장기계약으로 대부분을 수출해 왔다. 일본기업이나 엑슨은 조성된 액화시설을 활용해 LNG로서 시드니 등 대도시가 집중하는 동부로 운반하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수출국으로 국내 공급 인프라가 가능한 첫번째 이유는 동부를 중심으로 에너지 수급이 타이트하다는 것이다. 호주는 이민자를 중심으로 인구가 급증해 2017년 말 2500만명 정도에서 2030년에는 3000만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 에너지시장 운영기구인AEMO에 따르면 호주 전력소비량은 2036년에 2500억 kW/ 時로 2018년보다 25%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멜버른 지역의 가스전은 고갈이 다가오고 있다.

두번째 이유는 환경대책이다. 호주는 세계 제일의 석탄수출국으로 호주 내의 발전은 현재 석탄화력이 60% 이상을 차지한다. 다만 파리협정에 의거 온난화 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05년보다 26~28%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똑같은 화석연료라도 온난화가스 발생이 적은 천연가스 화력으로의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모습이다. 2018년에 600페타(페타는 1000조) 주울 정도였던 천연가스 소비는 2036년에는 10% 넘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 두가지 이유에 대처하기 위해 LNG관련 이외의 대형 프로젝트도 추진되고 있다. 독일 지멘스 자회사인 미국 훌엔스과 태양광발전 대기업 라이온, JERA는 1200억엔을 투자해 2019년에 태양광 발전을 시작한다.

南오스트레일리아주에 10만kW로 세계 최대급의 리튬 이온 축전지를 병설한 발전소를 설치한다. AGL에너지, 가와사키 중공업, J파워, 마루베니 등은 빅토리아 주에서 탄화 정도가 낮은 석탄인 ‘갈탄’으로부터 수소를 꺼내 실증실험을 2019년에 개시한다.

세 번째 이유로 장기계약이 주류였던 거래관행이 무너지면서 호주도 LNG구입 측으로 전환하기 쉬웠다는 사정이 있다. 마루베니는 ‘호주에서 노하우를 축적하면 아시아를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LNG도입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