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이경인 기자] 한 달 전인 지난달 4일, 강원 고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은 530ha에 달하는 산림과 시설물 총 916곳에 피해를 입혔다. 또한 그 과정에서 2명이 숨지고 1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4000여명이 대피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산불로 기록됐다.

더욱이, 강원지역은 상당수 LPG충전· 판매업소가 도심이 아닌, 산간지역 부근에 위치해 있다. 산불이 발생하면 다른 지역 보다 피해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그러나 가스시설 피해는 미미한 수준이 었다. 또한 화재로 인해 가스시설에 불이 옮겨 붙으면서 발생하는 2차 피해는 전무 했다.

이처럼 피해가 적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얼마 전, 가스안전공사 관계자를 통해 그 이유를 소상히 알 수 있었다.

산불발생 직후, 가스안전공사에서는 산불피해지역에 소재한 가스시설 리스트를 소방서에 즉시 전달했다. 산불로 인한 가스시설 폭발이라는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였다.

소방서도 산불 진행방향을 확인한 뒤, 가스시설이 소재한 경우 우선적으로 진화 또는 피해예방에 나섰다.

여기에, 해당시설 사업자의 밤샘 진화작 업이라는 눈물겨운 사투도 있었으며 공급 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가스사용가구에 있는 LPG용기를 사전에 수거한 점도 피해를 줄이는데 숨은 공로였다.

실제, 산불피해현장에서는 담벼락이나 얇은 양은 철판을 사이로 운명이 뒤바뀐 사례가 한 두 곳이 아니었다. 고물로 처리 하기 위해 쌓아둔 폐차장이 산불로 전소 된 반면, 불과 1미터 옆에 있는 LPG충전·판매업소는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았다. 또한 벽을 사이에 두고 산쪽 나무는 새까맣게 탔지만, 충전소는 화재피해를 벗어날 수 있었다.

이는 가스안전공사의 발빠른 가스시설 리스트 제공과 소방서의 적절한 소방지원, 여기에 사업자와 공급자의 위험을 무릅쓴 진화작업 덕분이었다.

이번 산불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 지만, 적어도 가스시설 피해예방 매뉴얼만 큼은 효과적으로 운영된 셈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