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이경인 기자] 가스산업의 성장 속에서 안전제도가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1990년대에는 대형 가스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가스안전제도는 큰 변화와 성장을 겪게 된다.

먼저, 가스신문이 창간된 1989년에는 한국가스안전공사 본사가 서울에서 경기도 시흥으로 이전하는 해였다.(2013년 충북혁신도시로 이전)

가스안전공사의 시흥시대를 맞아, 가스신문도 태동한 셈이다.

1990년에 들어서는 LPG와 도시가스 모두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관련시설에 대한 검사제도가 뒤를 따랐다.

1991년 LPG판매시설 정기검사제도가 신설된데 이어, 1993년에는 가스시설 중간검사제도, 석유화학시설 안전진단제도가 연이어 신설된다.

하지만, 이듬해인 1994년 서울 아현동 가스공사 정압기지 폭발사고를 시작으로 불과 1년만인 1995년에는 대구 지하철 공사장에서 대형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한다. 이를 계기로 미비했던 매설배관 점검제도가 개선되고 새로운 가스시설 개발과 제도마련을 위해 가스안전기술연구센터(현 가스안전연구원)가 신설된다.

2000년에 들어서는 안전공급과 품질검사와 관련한 제도가 속속 시행된다.

2001년에는 안정적인 LPG공급과 공급자의 안전점검 유도를 위해 안전공급계약제도가 시행된다. 또한 저품질 LPG유통을 계기로 2002년부터는 LPG품질검사가 실시됐으며 2012년에는 도시가스, 2016년에는 고압가스 품질검사가 시행되면서 모든 연료용 가스로 확대된다.

2009년에는 상세기준을 민간에서 심의하는 가스기술기준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최소 6개월 이상 소요되던 상세기준 제‧개정 기간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2010년 서울 행당동에서는 운행 중이던 CNG버스용기가 파열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CNG차량의 안전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를 계기로 CNG버스용기 재검사제도를 비롯해 제조기준이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2010년 이후로는 에너지복지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제적인 이유로 노후고무호스 사용세대를 금속배관으로 교체하는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이 시행돼 호평을 얻었다.

당초 5년간 시행될 예정이던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은 5년이 연장되면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실시되고 있다.

수소를 비롯한 초고압 산업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난 2016년 강원도 영월에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가 들어섰으며 이듬해인 2017년 충북 진천에는 독성가스 중화처리와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산업가스안전기술지원센터가 각각 들어섰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