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강동수 일본특파원] 일본 자원에너지청은 지난달 스마트 미터기 제도 검토회를 약 6년 만에 재개해 2024년도부터 도입되는 차세대 전력 스마트 미터기 사양의 검토에 착수했다. 가스나 수도와의 공동 검침의 추진도 사양 결정에 있어 고려하는 요소의 하나로 가스 회사 등의 목소리도 적극적으로 반영시킬 방침이다. 그 결과 전력회사 측의 인프라를 공동 검침이 가능하도록 구축하게 되면 도시가스 업계에서 스마트 미터기의 도입을 가속시키는 커다란 계기도 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 미터기 제도 검토회는 전력의 모든 수요가에 스마트 미터기를 도입한다는 방침을 두고 2010년부터 2014년에 걸쳐 15회 개최됐다. 이에 따라 정해진 사양의 스마트 미터기는 2014년도부터 순차적으로 구식 미터기와의 교환으로 도입이 이뤄지고 있다.

미터기의 교환 빈도는 10년에 한 번으로 2024년부터는 보다 신형의 스마트 미터기 교체주기에 들어선다. 차세대 스마트 미터기는 분산형 기기의 도입 확대 등 현재 진행 중인 전력 시스템의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 사양을 결정하기 위해 에너지청은 검토 회의의 명칭을 ‘차세대 스마트 미터기 제도 검토회’로 수정하고 논의를 재개했다.

현재의 스마트 미터기에서는 30분 간격인 계측 빈도의 세분화 등이 새로운 사양의 주목할 부분이 될 전망이나 가스와 수도와의 공동 검침 추진도 목표 중 하나에 포함됐다.

미터기 관련 비용은 탁송 요금 원가에 포함돼 있어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상회하는 편익성이 새로운 사양 결정에 있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현 스마트 미터기에서는 통신 기능 구비로 원격 검침이 가능하다. 공동 검침은 그에 더해 편익성 증진 요인의 하나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달의 첫 회합에서는 검침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공동 검침에 의한 가스, 전력, 수도의 사용량 등의 데이터가 일원적으로 파악되면 에너지 절감의 진단 등 수요가를 위한 새로운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실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가스회사에 있어서도 검침 업무의 방식을 결정하는 선택지가 늘게 돼 기본적으로 나쁜 일은 아니다. 노동 인구 감소가 전국적으로 진행 중인 현재 검침 업무의 자동화는 가스 업계 전체의 과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전력회사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초기 비용 투자 없이 원격 검침의 길이 열리면 특히 중소 규모의 회사에 있어서는 스마트 미터기의 도입에 대한 경제적 판단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도 전력회사에 지불하는 이용료가 가스 회사에도 경제적 합리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 가스 업계가 바라는 사항은 또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안전 관리에 있어서도 공동 검침으로 전력회사의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밸브 개폐의 조작에 항상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 불가결하다는 지적이다.

검토회는 앞으로 연도 말까지 회합을 가지면서 논의를 집약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위원은 학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 외에도 송배전사업자나 통신사업자 등 15명으로 위원장은 모리카와 히로유키 도쿄대학 교수가 맡는다. 일본 가스협회와 세이부가스, 사라 에너지, 전국 LP가스협회, 미츠우로코 베셀 등의 도시가스와 LP가스 관계자도 옵서버로 참가한다. 기술적인 과제에 대해서는 상세 검토를 위한 검토회 산하 ‘사양 검토 워킹그룹’이 담당하게 된다.

(일본 가스에너지신문사 인용 요약)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