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주병국 기자] 서울지역에 도시가스가 본격적으로 공급된 시점은 1980년 2월이다.

이후 5개 민간사가 서울지역을 24개 구로 나누어 권역별로 도시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벌써 42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서울시민들이 도시가스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지하에 주배관망이 갖춰져야 하고, 정부와 서울시는 오랜 기간 보급확대 정책을 펼쳐 왔고, 그 최대 수혜지역은 서울이다.

다른 지자체가 보급률 60%를 겨우 넘길 때 서울특별시는 88.8%를 보였다. 이는 보급확대 정책과 함께 5개 민간사의 막대한 투자가 동반되었기에 가능했다. 2021년 말 기준 서울특별시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97.8%로, 전체 443만7천여 세대 중 433만9천여 가구가 도시가스를 사용 중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반 환경문제로 공급이 불가한 세대를 배제시 사실상 99% 의 보급률이라고 한다. 이 수준은 최고층 빌딩 꼭대기를 넘어 피뢰침에 이른 셈이다.

반면 지하에 매설된 5개 민간사의 주배관망은 노후화가 심각했다. 단일 지자체 내 5개 회사가 수요개발을 위해 과거 경쟁적으로 주배관망 건설에 나선 건 분명 더 많은 서울시민의 에너지복지를 구현했고, 그 결과물이 지금의 보급률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주배관망은 해들 거듭할수록 노후화되고 있다. 5개 공급사의 노후배관 연장길이 중 30년이 훌쩍 넘은 주배관망은 3000km에 이른다.

매설 지점 어느 곳에서라도 안전 문제가 야기될 소지가 다분하다. 다행히도 관련법에 따라 민간사들이 철저하게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다만 서울시가 이런 노후 주배관망을 민간사의 안전관리에만 의존해서는 안될 것이다.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했다. 민간사 입장에선 배관 교체보다 관리비용이 부담될 것이다. 당연히 기업은 경영활동 측면에서 교체사업에 난색을 표한다. 노후 배관은 매년 늘어날 것이다. 이젠 서울시가 보급확대 정책이 아닌 새로운 정책을 수립할 때이다. 더 늦으면 시민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