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carbon neutral, 炭素中立)은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그 흡수량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zero)’로 만들자는 개념이다. 그렇게 하려면 숲을 조성하여 산소 발생을 확대하거나 화석연료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거나,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방법 등이 있겠다.

2016년 파리협정 발효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작년 10월 탄소중립 동참을 선언했고, 올해 8월에는 ‘탄소중립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제 탄소중립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려는 지구촌의 과제인 만큼 거부할 수 없는 시대의 과제가 된 것이다. 그러나 값비싼 무탄소 전원의 확대로 전기요금의 대폭적인 인상이 불가피하고, 감축수단이 마땅치 않은 산업계의 입장에서는 탄소세 부담 등 이중고에 직면할 것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가스신문이 13일 가을특집호에서 탄소중립을 기획테마로 설정하고, 그 문제점을 대대적으로 심층 보도한 것도 이 때문이다. 가스업계는 친환경적인 에너지라는 자부심 속에 탄소중립을 ‘강 건너 불 보듯’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LNG도 LPG도 궁극적으로 화석연료인 만큼 탄소중립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다.

물론 당분간은 석탄과 석유수요를 가스가 흡수하겠지만, 2050년까지 천연가스도 55% 감축되어야 한다는 국제에너지기구의 시나리오를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다.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되어야겠지만, 너무 부담스러운 로드맵보다는 먼저 사회적인 합의와 국민적인 공감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