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석탄, LNG 등 화석연료의 발전비중을 줄이는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0%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3020’ 비전을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에너지전환정책은 지난해 말 문 정부가 ‘탄소중립 2050’ 실천 의지를 천명하면서 더욱 확고해졌고, 이미 에너지 시장과 에너지산업 곳곳에서 탄소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아마도 탄소중립이라는 새로운 에너지 전환시대를 앞두고 야기될 환경적 편익에 따른 기업의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함일 듯하다.

그동안 국내 에너지 시장에서는 값싼 원료(LNG, 석유, LPG 등)를 수입하여, 발전사업을 통해 기업의 이익 창출이 주요했다면, 이제는 기존 화석연료를 활용함에 있어 어떻게 하면 좀더 적게 탄소량을 배출하는 것이 기업의 가치 창출은 물론 기업의 미래비전까지 좌우할 만큼 중요한 과제이다.

여기에다 정부는 에너지분야의 신성장동력으로 ‘수소산업’과 ‘수소’를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하는 수소사회 전환까지 하려한다.

지난 10월 정부는 ‘수소경제 성과와 수소 선도국가 비전’ 발표를 통해 수소승용차(16,206대), 수소충전소(112기), 발전용 연료전지(688MW) 보급 3관왕을 달성했고, 수소를 기반으로 생산·유통·활용까지 수소경제 상태계 기반구축에 이어 2050년까지 수소사용량 2700만톤, 청정수소 비율 100%라는 계획까지 수립, 발표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에서 수소를 생산하거나 수전해를 통해 생산하는 청정수소를 공급하기 앞서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으로 블루수소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블루수소 75만톤, 그린수소 25만톤 그리고 2050년 블루수소 200만톤, 그린수소 300만톤을 각각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기업들과 대규모 프로젝트도 추진한다는 방안이다. 이같은 계획들이 차질없이 추진되어 수소경제 구현과 수소사회로 접어들기 위해서는 분명 LNG에서 수소를 추출하거나, 암모니아 등 기존 화석연료에서 탄소를 최대한 억제한 선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력 확보와 함께 관련 시장조성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