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위원회’는 지난 10월 18일 개최한 제2차 전체회의에서 탄소중립 제로화를 2050년에 달성하고,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로 높인 탄소중립 플랜을 발표하였다.

그동안 가스를 사용하던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정유 산업은 재생에너지, 전기가열로, 폐합성수지, 바이오매스 연료로, 수송에서는 무공해 자동차 보급을 97% 이상(A안 : 전기차 80% 이상, 수소차 17% 이상) 또는 최소 85% 이상(B안 : 내연기관차는 15% 미만)으로 확대, 해운에서는 친환경 연료로 각각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수산 분야에서는 저탄소‧무탄소 어선 보급으로 온실가스를 최소로 줄이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탄소소비를 최소로 낮추기 위해 석탄발전은 우선 중단하고, 사업전환과 고용문제를 감안해 가스도 획기적으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수송 분야에서 내연기관차는 최대 15% 이내로 감축, 친환경 해운은 LNG와 LPG 선박으로 교체·확대, 수산 분야는 LPG를 사용한 저탄소 어선 보급을 각각 예고하고 있다.

정부의 2050 탄소중립이 추진된다면, 산업부문에서 가스의 수소연료 전환 R&D 제품개발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다국적 업체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 있다. 차량부문에서 CNG 버스와 LPG 택시는 무탄소 차량으로 대체될 것이고, 최대 15%의 내연기관차 시장도 현재의 보조금 열풍을 감안하면 전기차로 넘어가기 쉽다.

다만, 친환경 해운에서 장거리 대형선박은 절대 우위의 LNG선과 일부 LPG으로 전환될 것이고, 근거리 소형선박(전장 12m 이하)에는 LPG, 중형선박(전장 24m급)은 LPG와 LNG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정책은 천문학적 비용이 필요함에도 지구촌의 온도상승을 1.5℃ 이내로 지키자는 공감대가 형성된지 오래다. 그럼에도 지속된 탄소중립 논쟁은 2021년 국가 탄소중립위원회 발족과 산업부 2022년도의 탄소중립 R&D 예산 1조2000억원 확대로 루비콘강을 건넜다.

현실적 대안으로 LNG는 플랜 A의 ‘산단 및 가정·공공 열 공급용으로 유지’하고, 발전에서는 플랜 B(A안의 0에서 5%로 끌어올려 유지)가 채택되도록 설득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이것을 위해 품질 안전과 편의성이 낮은 가스제품은 고품질의 AI제품으로 혁신하여 온실가스 발생을 극저로 낮추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그동안 가스업계가 간과하고 넘어간 가스누출(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탈루)에 의한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 0.5(A안)~1.3(B안)백만톤을 제로화한 결과물 제시가 중요해졌다.

정부의 수소공급 계획에서 A안의 27.4%는 해외수입(21.9%)과 수전해(5.5%), 그리고 B안은 해외수입 22.9%와 수전해(3%), 추출과 부생에서 각각 1%로 가스에 의한 수소 개질도 어렵게 되었다. 더욱이, 수입가스와 저가형 기계식 제품에 의존하던 가스공급업계의 관행은 수입수소와 제품을 연계한 다국적 외국사의 국제시장 단일화 전략에 맞물려 무너지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최근 반도체와 무선통신 전쟁, 테슬러의 자율자동차를 위시한 애플카와 구글카의 글로벌 공유전략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가스산업에서 관심을 둘 분야로는 연료전지와 수소에너지 전달 분야, 산업의 공정혁신 분야에서 연소기기와 가스공급 관련 제품의 AI화 및 가스누출 제로화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극소화, 수송의 친환경 선박에서는 기존 멤브레인 타입 LPG선의 고도화와, LPG 중소형 선박의 상용화 및 공급망 규제혁신이 그 대상이다. 또한, 해수부에서 추진하는 친환경 LPG 선박(중형 및 소형)의 R&D 제품과, 국제해사기구(IMO)에 관련된 안전검사기준 제정으로 LPG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

결국 가스업계도 탄소중립을 주도하는 2050 탄소중립위원회에 대응할 ‘저탄소중립 산업전환 전문위원회’와 같은 싱크탱크를 구성하여 필수 R&D 제품과 지속가능 저탄소정책을 개발·제안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