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최인영 기자] 지난해 6월 국내 최초의 수소전문기업이 탄생했다. 수소법(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소생태계 육성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가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총 30개를 지정한데 이어 올해 30개의 수소전문기업이 새롭게 등장할 예정이다. 기술개발부터 사업‧금융지원에 이르는 다방면의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올해에는 예비수소전문기업 지원사업도 신설하면서 기업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있다. 매출액 기준으로 인해 신청조차 못하던 기업의 애로사항을 반영한 셈이다.

정부는 오는 2040년까지 1000개의 수소전문기업을 통해 42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전략을 꾀하고 있다. 수소의 생산, 저장‧운송, 활용에 이르는 전주기(Full Cycle) 생태계를 육성하면서 수소경제를 앞당기고 있다.

새해를 맞아 수소전문기업 지원사업의 추진현황과 지원내용, 향후 계획 등을 알아본다.

지난해 38건 사업지원···현장애로 19건 해소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H2KOREA)는 정부와 함께 ‘수소전문기업 플러스(+) 1000’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전문기업을 △2025년 100개 △2027년 200개 △2030년 500개 △2040년 1000개로 늘려 세계 수소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제1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표한 5대 수소 분야 모빌리티, 연료전지, 액화수소, 수소충전소, 수전해 등의 소재, 부품, 장비에 대한 투자도 강화하고 있다. 매년 300만원의 연구개발비와 우수제품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수소전문기업은 수소법 제9조(전문기업 지원), 제10조(보조‧융자 및 전문인력 양성), 제15조(자산운용 방법), 제16조(전문기업 기금투자), 제17조(조세 및 부담금 감면), 제18조(국‧공유 재산의 대부 및 사용)에 근거하고 있다.

수소법은 기술개발, 사업화지원, 인력양성, 금융지원, 조세감면, 입주단지 확보 등 다방면의 지원책을 규정하고 있다.

수소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일정요건에 따라 수소전문기업을 신청할 수 있다. 총 매출액 대비 수소사업 관련 매출액 또는 연구개발 등 투자금액이 일정기준을 충족하면 되는 것이다. 등록, 승인 등의 절차 없는 확인제도로 수소법 제11조에 따라 수소전문기업 확인서를 발급하고 있다.

수소전문기업 확인서는 확인일로부터 5년간 유효하며, 1회 연장할 수 있다.

수소전문기업은 △시제품 제작 △인증 획득 △지식재산권 △기술도입‧보호 △연구장비 활용 △시장조사 △디자인 개선 △BI‧CI 개발 △홍보 △전시회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사업비는 전체 금액을 기준으로 정부지원금 80% 이내, 기업부담금 20% 이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협약체결 후 정부지원금의 70%를 지급하며, 사업 수행 중 평가 결과에 따라 30%의 잔금을 내어주고 있다.

지난해 기준 수소전문기업 지원예산은 17억원이다. 기업당 최대 1억 5000만원을 지원받았다. 수소전문기업 지원을 통해 지난해 15억6000만원, 총 38건의 사업을 지원했다.

H2KOREA 관계자는 “올해 예산과 신설제도 등은 현재 논의 중으로 이달 말 공고 예정”이라며 “이달 안에 기업을 위한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소전문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해 정부, 지자체 등에 제도개선과 지원방안을 요구하는 수소혁신데스크(Hydrogen Innovation Desk)도 운영 중이다. 정부와 기업의 가교역할을 하는 셈이다.

최초 기획 단계부터 사업 완료 시까지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고, 분야별 전문가가 기술‧경영컨설팅을 하고 있다. 종합진단, 간담회, 세미나 등 기술향상 현장클리닉도 마련하고 있다.

민관 전문위원회는 총괄 전문위원회에 15명, 4개 분야별 전문위원 55명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혁신데스크에서 발굴한 27건의 현장애로사항 중 19건을 해소한 바 있다. 아울러 매년 기업에 의견조사를 한 후 통계지표도 구축하고 있다.

H2KOREA 관계자는 “지난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사업으로 시작된 수소전문인력양성 지원사업도 올해 대폭 확대될 예정”이라며 “대학교에 수소학부 개설을 요청하는 한편 병역특례와 연계하는 방안도 정부에 제안 중”이라고 설명했다.

충전소‧연료전지 분야 최다 분포

현재 수소전문기업은 총 30개사가 있다. 지난해 6월 11개, 9월 8개, 12월까지 11개를 선정했다. 10월에 영도산업(주), 샘찬에너지(주), ㈜엘케이에너지, ㈜씨엔엘에너지, ㈜이스퀘어이앤씨, ㈜SPG수소, ㈜SPG산업을 지정한데 이어 11월에는 ㈜세양이엔지, (주)케이앤피코퍼레이션, 창신화학(주)을 12월에는 (주)지스를 지정했다.

수소충전소와 연료전지 등 활용 단계에 국내 수소산업이 집중돼 있기 때문에 수소전문기업도 가장 많이 분포돼 있다. 분야별로 보면 △연료전지 40%(12개) △모빌리티 20%(6개) △충전 20%(6개) △생산‧저장‧운송 20%(6개)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는 중소기업이 90%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중견기업(7%), 대기업(3%) 순으로 집계됐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수소사업 매출규모가 30% 이상인 기업이 38%로 가장 많았다. 평균매출액은 대기업 4618억원, 중견기업 950억원, 중소기업 3038억원이다.

지역별로는 경기(11곳), 충남(6곳), 서울(5곳), 경남(3곳), 부산(2곳), 울산(1곳), 전남(1곳), 전북(1곳) 순으로 수도권이 55%를 차지하고 있다.

수소전문기업은 최소 4년에서 최대 37년간 수소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38억 예산확보···예비수소전문기업 20곳도

정부는 신흥시장인 수소산업에 기업의 초기진입을 유도하고, 수소전문기업의 안착을 위해 올해 예비수소전문기업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하고 있다. 지원예산은 올해 38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수소 분야의 제품, 기술력 등을 보유하고 있지만 매출액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수소전문기업을 신청할 수 없다는 현장애로사항을 반영한 것이다.

올해 20곳의 예비수소전문기업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기업당 최대 7000만원까지 정부지원금도 받을 수 있다.

지역 생태계에 맞는 수소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운영안은 지자체별로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지자체는 기업지원전담기관인 창조경제혁신센터, 테크노파크, 진흥원 등과 협업해 운영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역기업지원기관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후보기업을 발굴해 추천하면 총괄전담기관인 H2KOREA가 평가를 거쳐 산업통상자원부가 대상기업을 선정하는 방식이다.

예비수소전문기업에 지원하는 사업비는 정부출연금(국비), 지자체부담금(지방비, 현금), 민간부담금(현금)으로 이뤄져 있다.

지역자율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사업화, 판로개척, 사업기획, 필요경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 기술개발과 규제개선을 위한 지원제도도 새롭게 운영된다. 수소전문기업만을 위한 기술개발지원으로 시제품 단계부터 공백없는 사업화로 연계하도록 돕고 있다.

올해 수소산업에 10억원, 수소연료전지에 10억원을 배정하고 있다. 산업계 수요에 맞춰 향후 3~5년에 걸쳐 지원과제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기업의 기술발전속도에 뒤처진 법, 제도 등의 개선도 시작하고 있다. 총 1억원을 투입해 법률자문, 규제전문가, 산업전문가 등에게 기업수요에 기반한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온라인 수소경제종합정보시스템에서는 수소전문기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정책, 통계, 인력, 기술개발, 인증, 시설정보 등 수소경제 관련 정보를 집적화한 사이트인 셈이다.

수소전문기업 신청은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 ‘e나라도움’에서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