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그린모빌리티 정책에 의하면 2022년 6.7만대, 2030년 85만대, 2040년까지 290만대 수소전기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도 2022년 310개를 시작으로 2040년까지 1,200개로 확충할 계획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전기차는 700 bar의 고압으로 충전되어 사고 발생 시 매우 큰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수소전기차의 운행 안전성 확보는 향후 수소전기차 보급 및 전주기 안전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자동차관리법에 근거하여 사업용 3년, 비사업용 4년마다 내압용기 정기검사를 실시해야 하고 2022년 731대, 2023년 4,232대 등 검사수요는 보급에 맞춰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기검사 중 결함이 발견될 경우 지정 자동차정비업소에서 정비 및 수리검사 이후 차량의 재운행이 가능한데 수소전기차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향후 정비수요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차량 제조사 서비스 네트워크 이외 수소전기차 정비사업소는 전무한 실정이므로 향후 전기·수소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친환경자동차 정비업소 확대를 위해서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지정정비사업소에서 정비수요를 감당해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기존 자동차정비업에서 수소 내압용기 및 연료장치를 정비하기 위해서는 가스시설시공업 자격을 취득하거나 등록한 업체와 협업계약을 하고 해당 업체에서 내압용기 또는 가스설비의 설치 또는 변경을 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러나, 해당 자격을 갖추기 어렵고 현재 이를 모두 갖춘 업소 또한 매우 소수이므로 필요 요구 기준을 만족하지 않고 업체 간 협업계약을 통해 정비작업을 수행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형식적으로 협업계약을 체결하여 자동차정비업에서 임의로 내압용기 및 연료장치를 정비하여 정비 중 사고 발생 또는 정비불량으로 인해 자동차 안전관리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기존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별도의 정비자격제도 도입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본 제도가 마련된다면 기존 제조사 자체 정비업소 이외 자동차정비업소에서도 정비가 가능하게 되어 수소전기차 연료장치 정비수요 급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질적인 정비기능을 제고할 수 있으므로 수소전기차 운행 안전성 강화와 취급 안전사고 예방에 매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기존 LPG충전소를 활용한 수소충전소 확보도 신경써야 한다. 2022년 1월 기준 전국의 수소충전소는 약 89개소가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정부의 수소기술개발 로드맵 상에서 목표했던 수소충전소 보급계획과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 숫자 간 차이가 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기 구축비용을 절감하면서 도심지역에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LPG충전소를 이용한 융·복합 350bar 수소충전소 활용이 최근 업계에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심 내에 기존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와는 달리 낮은 압력인 350bar의 수소 충전소 실증 운영을 통하여 기존 LPG충전소를 활용할 수 있다. 수소충전소에 대한 안전불감증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시민 불안 개선에 따른 전국 수소충전소 건설 사업 가속효과를 꾀할 수 있다. 2030년까지 수소차량 운전자가 20분 이내 수소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는 수소충전소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