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유재준 기자]  “가스공사는 1분기 역대급 흑자를 냈으나 한전은 최악의 적자를 기록해 정부가 승인한 마진에 의한 정부 도움으로 횡재를 얻은 것이 아닌지 의문이다.”

“비싼 값에도 불구하고 가스공사가 현물 구매를 늘린 것은 수요 예측에 실패해서이다. 지난 해 11월까지 모두 5번에 걸쳐 수급계획을 고쳤다. 석탄발전 감축에 가스발전이 늘어난 데다 총 발전량도 예상보다 증가했다는 이유이다.”

최근 국내 주요 유력지에서 하루 차이로 가스공사를 질타하는 기사가 연이어 나와서 눈길을 끌고 있다. 이에 가스공사는 적극적인 해명자료를 내며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우선 민수용 원료비 동결에 따라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원료비 미수금 총액이 무려 6조원 이상이며 이에 따른 차입금 조달로 부채비율이 400%를 초과해 민수용 요금의 단계적인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2021년 발전용 수요의 증가로 인해 현물구매 부담이 급증했으며 수요 유발자가 아닌 민수용과 산업용에 전가되었으며 이에 2021년 12월 불필요한 도시가스 요금 상승 요인 통제와 고가 스팟 구매요인 감소를 위해 공급규정을 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인가관계에 따라 용도별 원가기준 요금을 부담토록 하여 원가주의 강화를 통한 요금의 합리성을 제고하고 현물가격 상승 시 가격 시그널 제공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타 발전원 가동을 유도해 국가 수급관리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됐다며 적극적인 방어에 나섰다.

한편 이 같은 공방전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원전 생태계 재건을 내세우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가 에너지 로드맵의 새 판이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 21일에는 정부 주관 ‘새 정부 에너지정책방향 공청회’도 예정돼 있다. 문재인 정부 말 한동안 잠잠했던 에너지 공기업과 민간기업, 발전사들 간 치열한 힘겨루기가 다시 시작되는 느낌이 역력하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