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형 기자

[가스신문 = 김재형 기자]  정부는 탄소중립과 수소경제 이행 과정에서 LPG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관련 산업의 추진 전략을 지난 9월에 소개했다. LPG이용 보급 시책 내용을 보면 기존에 거론됐던 정책을 재정립하고 이를 공식 문서화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자동차용 부탄사업자들은 판매물량이 끝없이 추락하는 가운데 특별한 반등의 포인트도 없어 전의를 잃었다. 자동차시장의 패러다임이 배터리전기차와 수소전기차로 바뀌다 보니 LPG자동차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배터리· 수소 전기차에는 대당 2000만 원이 넘는 지원금을 주면서 가성비 좋은 LPG자동차의 지원은 여전히 빈약하다. LPG자동차가 꾸준히 운행돼야 기존 충전소도 유지되고 이를 바탕으로 수소충전소 병행도 꾀할 수 있다. 친환경 LPG자동차의 지원책을 확대해야 하는 이유이다. 현재 시범사업인 셀프충전소도 조금 더 속도를 높여 제도화할지를 선택해야 한다.

프로판 분야도 가까스로 버티고는 있지만 전망이 좋지 못하다. 정부는 LPG배관망 사업을 통해 공급 인프라 확충에 노력하고 있고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LPG인프라를 확대하는 건 찬성하지만 가스를 공급하는 사업자들을 위한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실제 몇몇 지역에서는 가스공급자들이 손실도 감수하는 상황이다. 수익이 나지 않을게 뻔히 보여도 ‘불로 뛰어드는 나방’처럼 낮은 입찰 가격을 제시한다. LPG배관망 사업은 가스공급 가격을 낮추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없지만 가스공급자들도 이익을 낼 수 있는 구조로 변화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초대형 사업자들만 군림하고 중소업체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대기오염 개선에 뚜렷한 효과를 낼 수 있는 LPG선박을 비롯해 도서지역의 LPG발전기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됐다. 어쨌거나 희망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가 LPG이용 보급 시책을 만들었다. 앞으로 민관이 힘을 모아 구체적인 실행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