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주병국 기자]  우리나라는 대규모 발전소 기반의 집중형 발전시스템을 근간으로 전력공급을 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원전을 비롯해 석탄발전, LNG 발전 등 대규모 발전소 건설에 따른 막대한 재원이 투입됐다. 여기에다 공급 인프라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도 한 해 수천억원이 소요된다.

특히 전력소비량이 집중된 수도권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반드시 송․배전망와 같은 인프라도 갖춰야 하다 보니, 송배전 건설에 따른 사회적 갈등도 심각하다. 이는 발전소가 집중된 지방권에서 전력소비가 많은 수도권으로 공급하다보니 발생되며, 결국 수도권 전력자급률이 낮기 때문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집계한 지역별 전력자급률(2019년)을 보면 인천(247%), 충남(224%), 강원(174%), 경북(167%), 전남(153%) 경남(141%)이 높은 반면 경기도(60%)와 서울(4%)은 낮다. 특히 서울의 전력자급률은 심각한 수준이며, 수도권 전력소비 중 3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다.

게다가 최근 수도권 내에 대규모 발전소 및 송전설비 건설은 주민 수용성 문제로 불가능한 수준이다. 이런 현실적 상황을 고려시 앞으로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에서 벗어나야 하며, 그 대안으로 지역별로 필요한 전력을 자가소비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보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탄소중립 등 에너지전환 시대를 앞두고 재생에너지, 수소연료전지, 고효율 열병합발전 등과 같은 분산에너지가 대규모 발전소를 대체하도록 정부의 정책 변화는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정부도 2040년까지 분산에너지 발전 비중을 전체 발전 비중의 30%까지 높이겠다고 한다.

국회에서도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관련법 마련을 위해 분산에너지 특례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특히 연료전지발전은 수도권에서 분산에너지로 가장 특화된 전력공급시스템이며, 수소 사회로 전환에 있어 중요한 축 중 하나이다.

중앙집중형 시스템에서 벗어나고, 수도권의 전력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국회 계류 중인 분산에너지 특례법이 하루속히 통과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