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요금 인상으로 산업용 도시가스 판매실적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매요금 인상으로 산업용 도시가스 판매실적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스신문 = 주병국 기자]  올해 국내 도시가스 산업은 국제 에너지시장 불안으로 천연가스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수요이탈에 따른 판매량 둔화와 신규수요개발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도시가스 시장은 높은 전국 평균 보급률(84%)에 도달한 만큼 신규 수요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며, 지방권도 건설경기 악화로 대규모 택지개발마저 얼어붙었다. 이런 상황에서 그나마 정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노후 공동주택 재건축 규제 완화, 수도권 중심의 제3기 신도시 조성으로 3~4년 안으로 공동주택 세대수는 늘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대부분 취사전용 세대로 도시가스사들의 판매 신장에는 큰 도움을 못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또 하나의 악재로는 지난해 국제에너지 수급 불안으로 도시가스용 도매요금이 큰폭으로 오르면서 가격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천연가스 원료비 인상으로 도시가스 산업용과 수송용, 발전용 등 민수용을 제외한 전 용도별 요금이 전년보다 최소 80% 이상 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경쟁연료인 LPG 등은 시장 자율화로 가격을 탄력적으로 내리고 있다. 그만큼 대용량 수요처들의 ‘탈 LNG’ 현상이 올해부터 두드러져, 산업용 판매량 감소가 가시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표1 참조>

또 정부의 민수용 요금억제 정책이 28개월째 이어지면서 더 싼 가격으로 공급해야 할 산업용과 발전용, 수송용 도매요금이 주택용보다 75% 이상 비싸져 용도별 요금 간의 불균형 등 가격 왜곡 현상이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향후 국제에너지 가격이 정상화되더라도 원료비 미수금(8조원) 탓에 도시가스요금이 인하되긴 쉽지 않다. 따라서 올해도 도시가스는 가격경쟁 측면에서 타 연료보다 우위를 점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도시가스업계가 올해 신규수요로 적극적으로 개발에 나서야 할 건물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 분야도 전망이 밝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도 올해 도시가스업계는 안정적인 도시가스 공급을 위해 30년 이상 노후 된 지하 매설배관 등 공급시설물에 대한 교체사업을 시작으로 얼어붙은 국내 도시가스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전망이다. 특히 정부가 도시가스업계의 숙원사업 중 하나인 장기사용배관 교체사업에 대해 가산투자보수를 적용토록 관련 규정을 개정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들도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정부의 제도개선을 적극 희망하고 있어, 올해부터 도시가스사들의 노후배관 교체사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전망이다. 또 고객서비스 향상과 계량 선진화를 위해 시범사업에 머물렀던 가스AMI사업도 전국 단위로 확대될 것이며, 여기에 발맞춰 민간사마다 소비자 중심의 에너지 플랫폼 개발 및 도입에 나서고 있다.

그 외에도 국내 천연가스 시장에서 독자노선을 가고 있는 민간LNG직도입 사업자의 역할도 점점 커지고 있다. 다만 국내외 에너지 안보 강화 차원에서 이들 사업자에 대한 역할 확대와 의무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나, 국내 천연가스 도매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오기에는 아직도 가야 할 제도적, 환경적 변화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내외적 변화를 겪는 도시가스 시장은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민간사들은 과감한 투자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체질 개선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도매요금 인상 시 수요이탈 우려

올해 34개 도시가스사의 판매 부문은 도매요금 원료비 변동에 따라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판매량의 49%를 차지하는 주택용은 정부의 요금억제 정책으로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하여 수요이탈은 없을 전망이다. 다만 값싼 전기요금과 최근 급증하는 오피스텔 수요가 대부분 올 전기화로 이뤄지고,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해 공급되는 에너지는 전량 지역난방이다 보니 도시가스 주택용 수요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민수용 판매량은 평년 수준인 110억㎥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공급사들의 판매량 중 35%를 차지하는 산업용은 고공행진하는 도매요금 탓에 타 연료와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산업용 부문에서는 LPG와 B-C유, 전기를 원료로 하는 산업체들이 늘면서 ‘탈 LNG’ 현상이 지방권을 중심으로 수도권까지 확대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올해 예상되는 산업용 부문의 판매량은 80억~85억㎥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내년 1분기 산업용 도매요금이 또 다시 인상시 판매량은 2021년 수준인 83억㎥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배제할 수 없다.

수송용은 이미 전기버스 보급 확대로 인해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올해도 수송용 요금이 또다시 인상될 경우 경쟁력을 갖추긴 어렵다. 이에 정부가 공익적 차원에서 서민들의 발인 CNG버스에 대한 원료비 인하를 단행하지 않을 경우 예상되는 판매량은 8억5천만㎥ 이하로 곤두박질칠 가능성이 크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도시가스사마다 신규 수요확보 차원에서 활발하게 보급에 나서고 있는 연료전지용 부문은 올해도 크게 신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국내 발전사들이 신재생에너지의무율(REC)을 맞추기 위해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보다 연료전지 발전을 선호하면서 발전설비용량이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수소연료전지발전설비 용량은 2018년 333MW, 2019년 405MW, 2020년 610MW, 2021년 688MW, 2022년은 831MW(10월 기준)이며로 해마다 증가했고, 올 상반기 1000MW를 넘어설 전망이다. 이에 도시가스사들의 연료전지용 판매량도 늘 것이다. 다만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직공급을 받는 수요처도 함께 늘 전망이라 올해 예상되는 연료전지용 판매량은 최소 6억㎥는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1년 때 기록한 판매실적(3억4000만㎥)보다는 70% 이상 신장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도매요금 인상 여부가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그외 가스냉난방과 열병합용 판매량은 예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올해 용도별 판매예측을 통한 2023년도 34개 도시가스사의 예상 판매량은 255~257억㎥를 상회할 전망이다. 이중 수도권이 전체 판매량 중 46%를 차지하는 118억㎥, 지방권은 54%인 139억㎥을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2022년도 254억(예상치)보다 약 2% 증가한 낮은 성장세이다. 여기에 1~2월 매서운 한파와 같은 날씨 영향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배관건설 수도권 374km, 지방권 948km

올해 도시가스 예상 총 수요가수는 2100만개소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가정용이 가장 많은 2014만가구로 전체 수요가 중 9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신규로 늘어날 세대수는 약 38~39만 가구로 예상된다. 수도권은 대부분 취사전용세대가 유력하다. 그 외 일반용 70만개소, 업무용 200만개소, 산업용 200개소 그 외 연료전지용(건물․가전용․발전용)이 2600개소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2023년도 전국 도시가스 평균 보급률은 84.3%를 상회할 전망이며, 이는 2021년(국토부 기준 83.7%)보다 1%p 증가 수준으로, 보급률 증가세는 연간 0.5% 수준에도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제 보급률이 정점에 이른 셈이다. <표3, 도시가스 보급률>

올해 34개 도시가스사의 배관망 건설계획은 1322km로 수립됐다. 이는 2022년보다 소폭 증가한 것으로 지방권 공급사가 948km, 수도권 공급사는 374km로 지방권이 수도권보다 2.5배 많다. 다만 수도권의 경우 정부의 제도개선을 통해 장기사용배관 교체사업이 활발해져 400km를 넘어설 것이다. <표4, 올해 배관건설계획>

5개년 계획에 따른 수도권 공급사의 배관망 건설은 총 374km 중 본관이 69km, 공급관은 305km로 각각 추진된다. 신규로 배관망이 건설될 지역은 대부분 신규택지개발지구와 재개발권으로 서울보다 경기지역에서 주로 이뤄질 전망이다.

지방권은 여전히 산업단지 조성과 신규택지개발로 인해 수요 증가에 따른 배관망 건설사업이 올해에도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지방권의 경우 올해 총 948km의 배관망이 확충되며, 이중 본관이 242.6km, 공급관은 705.4km가 각각 신규로 건설될 전망이다. 지방권이 수도권보다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이 많다보니 에너지복지 차원에서 도시가스 배관건설 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올해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 대한 보급 확대를 위해 정책자금으로 배관건설융자지원금 243억원을 배정, 민간사들의 배관망 확충사업을 지원한다. 이 같은 계획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전국적으로 확충될 34개 도시가스사의 배관망 인프라(본관+공급관)는 총 3만7307km에 이를 전망이다.

가산투자보수율 확대 적용 기대

올해 도시가스 시장에서 이뤄질 제도개선은 크게 두 가지이다. 우선 도시가스업계의 숙원사업 중 하나인 장기사용 배관에 대한 교체사업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가산투자보수율 확대 적용 여부이다. 이미 정부가 노후배관에 대한 예방 안전관리와 민간사의 자발적 투자 환경을 유도하도록 관련 기준을 개정코자 전문기관을 통한 연구용역을 추진했고, 올 초 최종보고 후 제도개선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도시가스업계는 지자체별로 여건에 따라 장기사용배관 교체사업에 가산투자보수율이 적용될 경우 자발적으로 노후배관 교체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도시가스업계는 정부의 관련 공급규정 개정을 학수고대하고 있다.

또 하나는 도시가스사의 위탁업무를 수행하는 고객센터와 근로자인 점검원들 간의 노사 문제로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점검원들의 과도한 임금인상과 근로여건 개선을 지자체와 도시가스사가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보니 관련 문제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이와 함께 공동주택 내 가스시설물에 관한 안전관리 주체를 바로잡는 문제이다. 사용자시설물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관리가 이뤄지기 위해 관련법 개정과 함께 제도정비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인 만큼 올해 뜨거운 감자로 다뤄질 전망이다. 그 외에도 전국적으로 보급 확대가 시행된 가스AMI보급사업이 제대로 이행되도록 정부와 업계가 다방면으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