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박귀철 기자]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해결방안으로 수소경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수소의 도입을 위한 기반 마련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 수요 및 청정수소의 생산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관련 전주기 수소인프라 수요도 지속 증가하고 장기적으로 경제성과 수용성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수소인프라클러스터(Hydrogen-infrastructure Research Cluster:H2iRC)의 황인주 클러스터장(공학박사)은 수소경제로의 이행에 대량의 수소 생산과 도입, 저장 및 공급체계가 요구되며, 수소의 대규모 적용을 위해서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전주기 수소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황 클러스터장은 KICT의 수소인프라클러스터는 2007년부터 자체기획과 자발적인 다학제 연구모임을 통해 R&D 모색 및 고유의 연구영역 탐색, 관련 연구를 지속해 왔다며, 2021년에 연구원 R&D 이행, 연구원 고유임무 수행, 사회 이슈 및 미래대응 연구수행 등을 목적으로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협업하는 다학제 융합조직으로 설립되었다고 밝혔다.

현재 수소인프라클러스터의 인적 구성은 박사급 정규직 35명으로 전공 분야는 설비, 안전, 구조, 지반, 환경, 도로교통, 건축도시, 시험·인증 등 다학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합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융합조직의 강점을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연구원 고유임무 달성과 탄소중립 사회구현에 기여하기 위한 전주기 수소 인프라 융합기술연구와 관련 지식 창출·공유·확산을 주 임무로 하고 있습니다.”

그는 주요 연구 분야로는 KICT 임무달성을 위한 탄소중립 수소도시 융합 인프라 구축 및 운영 기술, 수소도시 기반시설 안전 및 수용성 확보 기술, 광역단위 수소공급인프라 건설 기술, 환경기초시설 내 NEXUS(물-수소에너지-탄소) 신공정 기술, 수소도시 인프라 정책 및 국가건설기준 지원 등 5대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핵심적인 기술 분야는 수소도시 에너지 프로파일 및 공급체계 최적화, 수소 설비의 지하 연계 입체화 수용 및 방호 시스템, 수소 시설 위험도 평가 및 저감, 수소관망 설계 및 경제적 원격 시공, 환경기초시설 내 NEXUS 신공정, 수소도시 건설 및 운영에 관한 법령, 중장기계획 지원 등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황인주 클러스터장은 그동안 수소인프라클러스터의 주요 실적으로는 지하 수소공급시설 방호방폭 안전 설계, 지하 연계 수소스테이션 설계, 실시간 모니터링 연동 통합 안전플랫폼, 수소충전소 정량적 위험성 평가 기술, 위험 윤곽(Risk Contour) 플랫폼 기술, 수소주택 수소설비 안전기술 등을 연구했다고 한다. 또 현재 수행 중인 연구로는 수소도시 기반시설의 안전 및 수용성 확보기술과 리스크 컨투어 기반 수소안전 플랫폼 기술, 수소도시 내 수소관망 구축 및 운영 기술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수소인프라클러스터가 연구하고 있는 수소 관련 분야는 제1차 수소경제이행기본계획 상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및 모든 일상에서 수소 활용과 연계성이 높습니다. 또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상 탄소중립 선도 및 지속 가능한 환경 전환으로 수소를 탄소중립 중점기술로 선정, 수소공급분야 탄소중립 혁신기술 로드맵 상 탄소중립 수소 전용 배관망 핵심기술 개발 및 수소공급 허브시스템 개발 등 국가 중요정책과 연계성도 매우 높다고 봅니다.”

황인주 클러스터장은 올해와 앞으로의 연구계획에 대해서 밝혔다. “우선 올해는 수소도시 기반시설의 지하 연계 입체화 설계기술 연구, 광역수소관망 및 허브시스템 등 자체기획에 매진하고자 합니다. 향후에는 국가전략기술의 일환으로 연구단급 도시 내 수소관망 구축 및 운영기술 과제 착수, 광역 관망 및 그리드 구축, 수소도시 기반시설의 수용성 확보기술의 실증에 주력하고자 합니다.”

끝으로 황 클러스터장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에 대한 소개도 잊지 않았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건설 및 국토관리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과 성과확산을 통해 건설산업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 및 국가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임무로는 국가기반시설 성능고도화, 국토재해 대응 기술, 친환경 국토조성 기술, 건설기반 융합기술, 고성능 건설자재 기술 개발, 국토·건설기술정책 수립, 건설분야 국가표준 및 기준 개발, 기술사업화 및 중소·중견기업 기술지원, 건설공사 및 기자재 품질인증, 인·지정, 검사 및 시험·평가 등 품질인증 및 시험업무 등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