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교육에 대한 열의로 인해 자원이 빈약한 단점을 극복하고 지금의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6-70년대의 화학공학과를 비롯하여 기계공학과와 전기전자공학과에서 배출된 인재가 각각 섬유산업, 중화학공업 80년대 자동차공업과 조선산업 부흥의 원동력이 되었다. 우리는 그래도 나름대로 선제적으로 인력을 양성하여 국가 기간산업에 적기에 충분하게 공급했고 우수한 인재 육성만이 우리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 길임은 앞으로도 변하지 않으리라고 본다.

탄소중립은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 이제 글로벌 이슈로 자리잡았다. 전세계 140여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미국·EU 등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대규모 재정투입 및 탄소국경세 도입 등 본격 착수단계에 돌입하였다. 탄소중립의 목표달성에 기여도가 클것으로 에상되는 수소연료전지 분야는 산학연관이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공통된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배후지원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의 교육시스템과 사업추진에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지자체의 선도적인 추진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학교육의 측면에서 현재 수소모빌리티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시장 확대를 보여주고 있지만 수소생산, 저장, 운송 및 활용 산업의 전문 기술인력은 관련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치열한 선진국의 기술장벽을 뛰어넘기에는 아직은 매우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수소산업 실태조사에서도 수소산업 육성·발전의 장애요인으로 전문인력 부족이 2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인력 양성 및 수급을 위한 사업이 전무하다고 응답한 기업도 81.7%였다.

몰론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그나마 전문인력이 공급되고 있지만 이제는 교육공급자인 대학 위주의 프로그램 운영보다는 기업별로 최적화된 인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개편해야 한다. 체계적인 인력양성 통합관리를 실시하여 수소산업 성장에 따른 기업과 대학 간 인력수급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 대학 내 공간에서 교육하는 물리적 방법보다는 현장에서 기업요구에 대응하여 교육하는 융합캠퍼스 형태의 화학적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이제는 대학이 현장에 직접 투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대학을 위한 지역사업보다는 지역을 위한 대학의 책무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지자체의 경우 다양한 수소에너지 관련 사업들이 수행되고 있다. 우려스러운 점은 다양한 사업수행으로 인하여 수소산업 발전의 추진동력이 되고 있지만 일부 전문성 부족으로 인하여 출구전략 없이 사업유치에만 과도하게 경쟁하고 있다. 한번쯤은 사업수행을 통한 지역 취/창업 효과 및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지역산업 유형별 지원정책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외형적인 기업유치보다는 기업이 생존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지역산업 고도화에 적합한 논리모델을 개발하고 지역 고유의 수소산업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주민 기대에 부응할 필요가 매우 크다.

수소산업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시장이 확대되어가는 성장 단계이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 가까운 장래에 큰 시장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어 지역의 미래 핵심 기반산업으로 육성이 가능하다. 수소산업의 성공적인 발전은 산업체의 매출 확보에 귀결되므로 모든 지원정책은 산업화 중심으로 추진되어야만 한다. 수소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공급으로 기업의 역량 극대화를 통해 고용창출 및 지역 소득 증대 달성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