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주병국 기자] 정부가 ‘2030 에너지전환 정책’을 통해 탄소중립을 구현하면서도 미래 먹거리 산업인 수소산업을 육성코자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정책으로는 수소전문기업으로, 지난 2021년 6월 두산퓨얼셀, 원일티엔아이, 에스퓨얼셀, 범한퓨얼셀 등 11개사 선정을 시작으로 올 상반기까지 총 64개 기업이 선정됐다.

정부는 수소 사회로 전환에 앞서 우수한 수소전문기업을 육성하고, 이들 기업에게 가점제도와 조세 관련 정책 지원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키워 미래를 대비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현재 수소전문기업에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수소연료전지를 자체 제작 및 생산할 수 있는 기업들이 선정됐다.

과거에는 기술력 부족으로 해외로부터 수소연료전지 등을 수입해 왔지만 이제는 국내 기술력 향상과 기업들의 R&D 투자 확대로 자체 생산 및 A/S시스템까지 갖췄다. 그러나 이런 기업들이 정부의 정책지원 부재로 에너지시장에서 생존을 걱정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가 바로 건물용 연료전지이다. 수소전문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정부의 정책을 믿고 막대한 투자를 감수하면서까지 기술확보와 우수제품 생산에 노력해 지금은 국내 건물용 연료전지가 발전효율 50% 이상, 에너지 종합효율 90% 이상을 보이는 등 기술 고도화로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다.

하지만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실적은 2022년말 기준으로 1,253개소에 설비용량 29.1MW에 그쳐 정부가 제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목표치(50MW)의 58%에 불과하다. 한마디로 정부 정책목표 미달 수준이다. 정부가 매년 수소전문기업만 선정한다고 그 기업이 육성되는 것이 아니다.

정부가 수소전문기업만 선정할 것이 아니라 이들 기업이 시장에서 최소한 생존하도록 세심한 정책과 지원까지 내놓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