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호스를 사용하던 LPG사용시설을 금속배관으로 설치한 모습
고무호스를 사용하던 LPG사용시설을 금속배관으로 설치한 모습

[가스신문 = 이경인 기자] 올해 안전분야에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스사고 발생건수에서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LPG사고에 대해 대책마련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업계와 가스안전공사가 의견대립을 보이고 있는 검사제도에 대해 국회에서 어떤 판단을 내릴지 관심이 모아진다.

가스안전공사가 집계한 상반기 가스사고 발생현황에 따르면, 27건이 발생해 전년대비 30건보다 3건 감소했으며 불과 2년 전인 2021년 44건과 비교하면 38% 줄었다. 또한, 인명피해도 올 상반기는 25명으로 2022년 30명, 2021년 39명과 비교해 높은 감소폭을 보였다.

사고발생건수가 예년과 비교해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긍정적인 평가가 기대되지만, 늘어나고 있는 LPG사고에 대해서는 대책마련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가스사고는 감소했지만 LPG사고는 2021년 20건에서 2022년 14건 이후 올해 15건으로 오히려 증가했으며 전체 가스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이와함께 좀처럼 줄지 않는 굴착공사로 인한 매설배관 파손사고에 대한 대책마련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20년 11건이던 굴착사고는 2021년 10건, 2022년 8건으로 소폭 줄었지만 미신고 상태에서 무단굴착공사를 실시하던 중 매설배관이 파손된 사고는 2020년 7건, 2021년 7건, 2022년 4건 등 전체 굴착공사 사고의 절반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감 단골질의사항이었던 부탄캔 파열사고는 파열장치의무화를 계기로 2021년 10건에서 2022년 4건, 2023년 4건으로 크게 감소했다.

이처럼 강력한 의무조항 시행을 통해 사고감소가 입증된 만큼, LPG분야에서도 안전장치 부착, 검사제도 강화 등의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 가스안전공사는 LPG사용시설 및 공급자 관련 사고예방을 위해 올해부터 LPG공급자 평가전담제를 시범도입하고 있다.

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2021년에 추진한 안전지킴이 사업 결과, 공급자의 수요자시설 안전점검 이행률이 21%(1,226/5,943건)에 불과했다.

결국 공급자의 수요자시설 안전점검이 소수에 그치고 있으며, 이로인해 전체 가스사고에서 차지하는 LPG사고의 점유율이 여전히 고공행진을 기록하고 있다는게 가스안전공사의 입장이다. 반면, LPG업계는 공급자에게 책임과 부담만 높이는 제도라며 강력히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이번 국감에서 어떤 판단을 내릴지 눈길이 모아진다.

이밖에도 노후LPG사용시설 개선사업에 대한 속도감있는 지원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후LPG사용시설 개선사업은 지난 2011년부터 시작돼 올해도 3만4천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 개선대상이 도서지역에 위치한 탓에 시설개선비용 외에 선박 등 추가적인 비용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개선속도가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속도감 있는 노후LPG시설 개선을 위해 지역별로 지원제도 및 비용 등을 새롭게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 보인다.

이와함께 지난해 이슈가 됐던 소형LPG저장탱크 액유입 현상에 대한 조사결과를 놓고 개선대책이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가스안전공사는 지난해 12월 액유입 현상에 대한 실증시험을 통해 액유입 가능성이 확인된 만큼, 손상된 압력조종기를 수거해 원인규명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소형저장탱크 제조 및 설치에 대한 기준도 일부 개선도 추진된다.

아울러, 갈수록 줄어드는 LPG우수판매사업자 제도와 무관심 속에 사실상 방치된 도시가스사의 QMA(Quantitative Management Assessment:안전관리수준평가제)에 대한 해결책 마련도 요구될 것으로 보여진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