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다시피 한국가스공사 형편이 어렵다. 부채가 연말에 40조원을 넘을 것이라 하고 부채율이 부실기업 전단계 진입 중이나 마땅한 해결책이 없으니 안타깝기만 하다. 부채 대부분이 미수금에 해당하는 만큼 결자해지의 차원에서 정부가 ‘연료비 연동제’ 정상화나 가스위원회 신설을 통해 가스요금을 현실화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내년 총선과 천연가스 수출국들의 불안정한 정세로 인해 정부의 해결의지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에너지를 정치적 수단으로 삼았기에 초래된 난국이다. 이러한 에너지 정책의 기본에서 벗어나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시장기능을 왜곡시키는 바람에 에너지공기업이 부실해졌다.

필자가 보기에 이런 난국을 헤쳐 나가자는 분위기 전환을 위해서라도 무엇인가 앞날을 도모할 일을 벌여야 한다. 한국가스공사는 LNG를 도입하여 저장하고 운송하는 중류부문에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유가스 회사의 수익성은 상류부문의 실적이 좌우하지만 천연가스 탐사 및 개발생산사업은 시간이 걸리고 리스크가 큰 만큼 현재 한국가스공사가 추진할 여력이 없다. 따라서 한국가스공사의 상류부문보다는 허약한 하류부문의 역량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가스공사의 하류부문 사업으로 LNG 벙커링 사업이 있으나 도입물량에 비하면 미미하다. 에너지기업은 1차 에너지원의 확보에서부터 최종 소비에너지인 전력이나 열의 공급까지 다양한 포트폴리오의 최적화를 통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한국가스공사는 하류부문이 취약하기 때문에 ‘연료비 연동제‘가 수익성의 보루나 마찬가지다. 이러한 취약점을 조금이라도 개선하기 위해 지역난방공사와의 합병을 제안한다. 지역난방공사는 하류부문에만 특화된 형태이므로 두 기업의 합병은 상류부문부터 하류부문까지 통합된 종합에너지 기업으로 다양한 사업의 시너지를 추구,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제안의 배경은 한국가스공사 수익구조 개선의 필요성과 함께 지역난방공사의 낮은 영업이익률(2022년 3.85%)과 순이익률(2022년 1.9%) 개선의 필요성이다. 두 기업의 합병으로 한국가스공사는 하류부문 사업을 보완하고 지역난방공사는 중류 및 상류부문 사업을 보완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부는 두 에너지 공기업이 재무구조 개선에 창의적으로 대응할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에너지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두 기업의 합병은 미래지향적이다. 전 세계적인 추세로 볼 때,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수소에 대한 관심이 크고, 청정에너지로서의 수소는 에너지 분야에 혁신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수입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수소경제는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한국가스공사의 가스 인프라 분야 전문성과 지역난방공사의 난방 분야 전문성을 융합함으로써 청정에너지원을 이용한 수소 생산에서 냉난방과 전력생산을 위한 수소의 저장, 분배, 활용에 이르기까지 견고한 수소 인프라 구축을 통해 우리나라의 수소경제 진입을 촉진할 것이다.

과거는 신도 바꿀 수 없다고 했다. 한국가스공사의 부실이 지난 정부의 탓이라 해도 현재의 문제 해결은 오롯이 현 정부의 몫이다. 정부는 현재의 문제를 미래지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조직이다. 지난 정부가 실기한 요금현실화가 여전히 불투명한 만큼 정부가 한국가스공사의 정상화를 위해 조금이라도 수익성을 높일 구조적인 대안을 모색해 나가길 바란다. 이제부터라도 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기본에 충실한 에너지정책이 정착되기를 연구자의 입장에서 간절히 염원한다.

※위 글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음.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