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주병국 기자] 국내 에너지 시장은 정부의 에너지정책 기조에 따라 변한다. 정부의 정책변화에 따라 관련 산업 역시 흥망성쇠를 해왔다.

난방시장의 경우 1980년 초까지 고공 행진한 석탄 시장이 1980년 중반부터 내리막길을 걸었다. 1984년 3만여개소에 불과했던 도시가스 수요가 지난 8월 1900만호를 넘었고, 산업체와 일반수요까지 합치면 2,079만여개소에 이를 만큼 시장은 성장을 거듭했다. 청정연료라는 이미지와 함께 정부의 도시가스 보급확대 정책에 힘입어 전국 23개 지방자치단체에 매설된 배관 길이만 11만km에 이른다. 석유와 함께 국내 대표 연료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지금 도시가스 시장과 산업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과거 공급시설 확충과 보급 확대를 위해 투입된 수조원의 재원은 수년 전 사라졌고, 이젠 도시가스 시장은 고사하고 있다. 도시가스업계는 실패가 두려워 지속성장이 가능한 천연가스 도매시장과 발전시장에는 나서지도 못한다.

독점시장이라는 환경 속에서 성장하다 보니 이들 기업은 정부의 에너지정책 변화에 둔감했고, 치열한 경쟁 속에서 수요개발을 해본 경험마저 없다 보니 상황변화에 대응능력마저 상실했다. 오로지 지자체로부터 1~2원/㎥의 공급비용만 더 받고자 이해타산에 매몰하는 사이에 경쟁산업과 기업들은 위기 대응에 나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았다. 지역난방(집단에너지)은 분산에너지로 거듭나 관련법으로 성장을 보장받았다.

또 경쟁 에너지는 이 틈을 타 가스시장 잠식에 나섰다. 그 결과 자가열병합발전은 에너지시장에서 퇴출됐다. 또 대기환경 개선 일등 공신인 천연가스버스 시장도 전기차와 수소차에 밀려 벼랑 끝에 놓였다. 가스냉방 시장도 곧 전기시장으로부터 ‘녹다운’ 신세다.

상황이 이 지경인데도 업계와 권익을 대변해야 할 협회 간의 괴리감은 깊어져만 가니 과거 잘못 만든 도법마저도 개선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과거 도시가스업계를 리더했던 한 어른이 말한 ‘소탐대실’의 단어가 머리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