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정유 4사의 가격담합 의혹에 대해 현장조사에 전격 착수했다. 정유사들이 국제 유가의 고공 행진에 편승해 유류제품 가격을 담합, 인상한 혐의가 포착됐다는 게 조사 배경이다. 여기에 주유소와 대리점들이 판매마진을 높이는 과정에서의 담합을 했는지에 대한 조사도 검토돼 파장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더욱이 공정위는 내수용 석유제품 가격이 수출용보다 20% 가량 더 비싸다는 내용을 공표하면서 정유사들이 올 상반기 사상 최대의 순익을 올렸다는 점까지 강조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고 나섰다. 또 전국 주유소의 평균 휘발유 판매마진이 지난해 ℓ당 60.60원에서 지난달에는 85.82원으로 41.6%나 급등했고 대리점 마진도 1년 새 58.9%나 증가했다고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했다.

이같은 공정위의 선제공격에 대해 정유사도 이유 있는 항변을 하고 나섰다. 현행 휘발유 가격 중 65%가 세금이고 나머지 35%만 정유사가 가격을 결정하는 구조에서 담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여기에 교통세를 내려 치솟는 기름값을 잡아달라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빗발치자 정유사의 답합 의혹을 터트려 방어하는 것은 물론 또 이를 가격인하 압박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뒷말도 무성하게 나오고 있다.

누구의 말이 사실인지는 조사를 마쳐봐야 알 수 있다. 양측 모두의 말이 충분히 일리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뒷맛은 씁쓸하다. 공정위의 착수 동기도 석연치 않을뿐더러 정유사의 변명도 일부는 구차하다.

LPG업계도 가격자유화 이후 급증한 유통마진을 놓고 이런 저런 말이 많다. 수입사도 올 상반기에만 순익이 줄었을 뿐 그동안 승승장구 했었다. 외부의 압박과 지적이 아니라 내부 스스로 고객과 소비자를 우선시하는 장기적인 안목이 절실한 때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