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가 늘어난 이유

배관용밸브와 퓨즈콕 등의 생산규모가 올 들어 예년의 1/4 수준으로 줄어.

알고보니 이들 제품의 경우 재고품이 많아 신규 생산이 감소한 것.

원인은 KS가스용품 생산단계검사 의무화를 앞두고 검사 면제 혜택을 받기 위해 지난해 재고생산이 증가했기 때문.

현행법상 문제는 없지만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당분간 신제품이 아닌 재고품을 써야 하는데.

가스사고 예방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오히려 사고 위험도를 키우는 것은 아닌지 걱정.

재고품 생산으로 검사에 따른 불편함은 줄었겠지만 앞으로 이런 편법은 사라지길.


무성한 소문들

각종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많았던 한 주.

가스냉난방기 관련 한 업체가 대기업에 인수될 것이란 소문부터 산업용보일러 업체가 모 플랜트 업체에 인수된다는 말까지.

또 모 기관의 기관장이 임기를 채 마치지 못하고 사퇴할 것이란 얘기까지 나왔는데.

적극적으로 소문의 진상을 알아보려 했지만 ‘노코멘트’ ‘검토 중’ ‘우리도 상황 파악 중’ 등의 모호한 답변만 나올 뿐.

이 모두가 사실이라면 해당 업계에 크고 작은 변화가 생기는 것은 당연.

그 중엔 해당 업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도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도 상당수 있어 업계는 관심 촉각.


입장 난감한 지경부

올해부터 가스냉방 보급 확대를 위해 50억원의 정책자금이 지원되었는데.

당초 정부 정책자금만 지원될 경우 가스냉방의 보급 확대는 눈에 띄게 늘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결과는 ‘썰렁’.

한국가스공사가 10월말까지 집계한 보조금 지원 건수는 965건. 실제로 지원된 금액도 18억원으로 50억원 중 36% 수준에 머물러.

이는 정책자금이 별도로 조성되지 않았던 지난해 1600건의 지원 실적보다 턱없이 부족.

실적이 저조한 이유가 여러가지  있겠지만 어렵게 정책자금을 조성한 지경부의 입장이 난감할 실정.


우연한 일치죠

가스공사가 11일 두발로 데이 행사를 했는데. 이날은 차 없이 모든 임직원이 지하철, 자전거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에너지 절약은 물론 탄소배출량을 줄이자는 의도로 기획.

그런데 하필 이날 G20 정상회의 관계로 자동차 짝홀수제를 시행해 본의 아니게 날짜를 맞춘것 아니냐는 오해를 사기도.

가스공사의 한 관계자는 “정상회의에 맞춰 강제적으로 하는 행사가 아니다.

가스공사의 자체행사로 우연히 날짜가 맞았을 뿐”이라고 상세히 설명.


최소한의 관리·감독

김포시의 LPG판매사업자들과 강화군의 일부 LPG판매사업자들 이 가스공급권을 놓고 갈등의 골이 커지고 있다는데.

이들 지역은 행정구역상의 특징이 도드라진데다 가격할인을 비롯해 부적합 LPG시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마찰음이 나고 있는 실정.

더욱이 이들 판매업소를 관리·감독해야 하는 허가관청의 명쾌한 대응마저 뒤따르지 않으면서 문제를 더욱 키우고 있는 듯.

이들 사업자들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원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하는 것은 아닐지.


에너지복지법 필요는 하지만...

지난주 열린 에너지복지법(안) 공청회. 에너지복지법 제정 자체는 모두가 찬성하는 분위기였으나 세부 법률안에 대해서는 상당 부분 개정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빈곤층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에너지복지가 이뤄졌으면 한다는 아쉬움도, 에너지쿠폰제 도입의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도 가득.

게다가 에너지복지기여금 부과대상기관인 에너지공기업 3사의 반응도 냉랭.

한 공청회 참석자는 “생각보다 쉽지 않은 문제”라며 “법 제정까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을 것”이라고 한 마디.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