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화학회사의 관계자들이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가스누출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가스신문=박귀철 기자] 가스시설의 안전점검을 비롯해 화재현장, 탐색용 구조장비 등 열화상 카메라의 사용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의 사용범위가 넓어지는 것은 짧은 시간에 신속한 확인이 가능하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암모니아 냉동제조시설의 정밀안전검진을 위해 약 1억 원 상당의 열화상 카메라를 구입, 오는 2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가스안전공사는 메탄검지용 열화상 카메라도 사용 중이다. 지난해 1월에는 대전시가 탐색용 구조장비로 42대의 열화상 카메라를 구입했으며 11월에는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화재현장의 잔불여부 및 신속한 인명구조를 위해 116대의 장비를 구입했다. 그밖에 보건소, 도시철도공사, 군부대 등에서도 구입했다.

이처럼 열화상 카메라는 지난해 약 80대 이상이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보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열화상 카메라는 규격에 따라 약 50가지가 넘으며 가격도 50만원 대에서 1억원 이상의 고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이중 가스누출 여부를 알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는 대부분 1억 원대 이상의 고가장비로 석유화학 및 정유공장에서 널리 사용 중이며 한국가스안전공사, 전기안전공사 등의 검사기관, 코원에너지서비스 등의 도시가스사에서 사용 중이다.

서울시소방재난본부의 한 관계자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화재현장에서 신속한 인명검색과 퇴로 확인, 잔불 확인 등에 유용할 것으로 본다”며 정확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열화상 카메라 업체의 한 관계자는 “레이저 메탄검지기가 할 수 없는 부분을 열화상 카메라로 대체한다면 경쟁력이 있다”며 “무엇보다 광범위한 가스누출 현장에서 신속한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므로 앞으로 필수적인 가스안전 장비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고 덧붙였다.

가스안전공사의 한 관계자는 “열화상 카메라가 첨단의 가스안전장비임에는 틀림 없지만 구입가격이 너무 높아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러한 첨단 장비도 국내에서 개발될 수 있도록 정부의 개발자금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열화상 카메라는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은 점검이 어렵다는 단점을 보완해 드론(무인기)과 결합한 제품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일부 도시가스사에서도 드론을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시연회를 갖기도 하는 등 가스업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