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남영태 기자] 지난 달 수소경제법이 통과됐음에도 불구하고 ‘수소경제 정책’의 지속성에 물음표를 보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과거 정권에서 진행했으나, 한번 백지화된 정책이라 여전히 불안감이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분명한 것은 지난 2005년 ‘친환경 수소경제 구현 마스터플랜’과 現 정권에서 지난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내용과 분위기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번 로드맵에는 기술향상, 경제성 확보, 환경 문제 부각 등 과거 대비 크게 성숙된 시장 환경을 반영했다. 또 2005년 마스터플랜은 대부분 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R&D 위주의 대책이었으나, 수소경제 로드맵은 생산·저장·운송·활용·안전 등 생태계 전주기에 걸친 내용이 포괄적으로 담겼다.

또한 지난해 10월 IPHE 국제수소경제포럼에서 팀 칼슨(Tim Karlsson) IPHE 사무국 상임이사의 언급처럼 현재 전 세계적으로 수소경제를 선점하기 위해 또 확산시키기 위한 붐이 일어나는 점도 과거와는 크게 다름을 시사한다.

이제 수소경제는 우리나라만의 정책이 아닌 세계적으로 필요성과 당위성의 공감대가 형성된 ‘글로벌 정책’이다.

우리나라도 지난 1년간 ▲수소차 판매 세계 1위 ▲충전소 최다 구축 ▲연료전지 시장비중 세계 1위 등의 성과를 보였다. 또 세계 최초 ‘수소경제법’ 제정 등으로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수소경제 2년차에 접어든 올해, 정부의 보다 디테일한 추진전략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수소경제 정책이 세계 기류에 맞춰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지난 1년 간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수소경제 기술개발 로드맵 ▲수소경제 안전관리 대책 등의 이행계획이 올해부터 실행에 옮겨져야 하는 중요한 때이다. 더욱이 ‘백지화된 정책’이라는 오해도 씻어내야 한다.

여전히 우리 산업계는 정권변화에 따른 지속성에 불안감을 갖고 있고, 외부에서도 지속성에 대한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정부가 올 한해 산·학·연과의 충분한 의사소통으로 체계적인 정책을 펼쳐, 불안감과 의문점 등을 해소시켜야만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을 제패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