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이경인 기자] 전체 가스사고 감소에도 불구하고 사망피해가 급증하면서 인명피해 감소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사고예방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집계한 지난해 가스사고 발생현황에 따르면, 총 98건이 발생해 전년대비(101건) 3건이 감소했다. 이는 최근 5년간 연평균 가스사고 103.8건보다는 소폭 낮은 수준으로 전체 가스사고는 하향 안정세를 취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가스별로는 LPG사고가 53건에서 43건으로 크게 줄어든 반면, 도시가스사고는 21건에서 23건, 고압가스사고 9건에서 10건, 이동식부탄연소기(부탄캔 등)관련 사고는 18건에서 22건으로 증가했다.

결국, LPG사고의 대폭 감소에도 불구하고 도시가스와 고압가스, 이동식부탄연소기 관련 사고의 증가로 인해 전체 가스사고의 감소폭도 크게 줄어든 셈이다.

이처럼 LPG사고의 급감은 노후고무시설의 금속배관 교체를 비롯해 타이머콕과 퓨즈콕 보급이 크게 늘면서 사용자부주의로 인한 위험을 사전에 예방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실제, 정부는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노후고무호스를 사용하는 서민층 LPG사용시설 75만가구를 금속배관으로 교체했으며 매년 타이머콕과 퓨즈콕 무상보급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런 노력덕분에 2016년 38건에 달하던 사용자부주의사고는 2020년 23건으로 39.4% 감소했다. 하지만, 가스시설의 사용기간이 장기화되면서 시설미비나 제품노후로 인한 사고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가스사고 발생원인을 살펴보면, 2016년 8건이던 타공사는 2020년 11건으로 증가했으며 시설미비도 2016년 27건을 기록한 뒤 2017년 29건, 2018년 34건, 2019년 29건, 2020년 27건을 기록하는 등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제품노후(불량)사고도 2016년 12건에서 2020년 16건으로 늘어났다. 여기에 이동식부탄연소기 관련 사고도 2016년 18건에서 2020년 22건으로 상승곡선을 그렸다.

그나마 제조업체의 기술개발로 폭발위험을 크게 줄인 신제품을 출시했지만, 정부 지원책의 미비로 보급도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한편, 상대적으로 사용자취급부주의사고에 비해 위험도가 높은 시설미비와 제품노후에 따른 사고가 증가하면서 인명피해 위험은 더욱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가스사고에 따른 사망자는 17명에 달해, 전년대비 8명의 두배를 넘어서고 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