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신문 = 김재형 기자] “LPG공급자 평가전담제는 정말 뜬금 없이 나온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LPG공급자에게 막중한 책임과 의무를 씌운다고 해서 전체적인 안전관리가 개선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앙 정부, 지자체, 한국가스안전공사를 비롯한 LPG공급자들이 중지를 모아야 보다 개선된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고 사료됩니다.”

한국LP가스판매협회중앙회 기술위원회에서 오랜 기간 활동하고 있는 박성식 위원장(59)은 최근 도입하려는 LPG제도에 대해 아쉬운 점을 토로했다. 무엇보다 정책 입안자들이 책상에 앉아 내놓은 정책들을 보면 자신들의 역할은 돌아보지 않은채 LPG공급자들에게만 의무를 떠 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LPG공급자들이 원하는 자율안전시스템 구축은 이러한 방향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저 역시 LPG판매업에 몸담고 있다보니 정부 정책에 반하는 의견을 내는 것이 한편으로는 걱정이 됩니다. 하지만 LPG관련 법이 갈수록 사회적인 수용성을 고려하지 않은채 행정폭력에 가깝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대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현행 법 체계는 가혹하리만큼 LPG공급자 중심으로 돼 있는데 이는 오히려 가스안전을 지켜나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박성식 위원장은 LPG공급자들 역시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소비처의 시설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장에서 각종 비용문제로 인해 개선하지 못하는 시설도 많다고 아쉬워했다. 가스배관과 자재 가격, 인건비 등이 상승하다보니 가스공급자들의 이익도 크게 줄어들고 있다며 정부가 각종 LPG시설을 개선하는데 예산을 지원하면 가스사고를 예방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최근 논의됐던 안전관리대행의 경우도 유통과 안전관리를 따로 분리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가스시설은 공급자 중심으로 설계한 것이고 아무래도 해당 시설에 대해 당사자의 이해도가 가장 높습니다. 안전공급계약제도만 하더라도 훌륭한 시스템이라고 봅니다. 현장에서 이것만이라도 잘 지켜질 수 있도록 보완하고 취지를 잘 살리는 것도 필요합니다.”

박 위원장은 250kg 이하, 100㎡ 이하 소형저장탱크 정기검사 부활을 강조했다. 소상공인의 경제적인 부담완화를 대의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결국 이를 수행하는 한국가스안전공사만 책임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안전관리 향상을 위해서는 각자 영역에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공급자의 역할, 사용자의 의식 함양, 지자체 및 가스안전공사의 관리감독 등이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 합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가스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가스에 대한 지식이 너무 부족한 게 안타깝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안전관리 콘텐츠의 개발도 시급하죠.”

그는 현재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가스공급자 스스로 높은 안전의식을 갖도록 주문했다. 가스소비자에게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안전을 제공하려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가스공급자 평가전담제는 LPG판매협회중앙회와 조금 더 협의를 거쳐 진행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